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연계자료를 활용한 고2 성취도 투사점수 산출방안 탐색Developing projection score for 11th graders using student level NAEA longitudinal data

Other Titles
Developing projection score for 11th graders using student level NAEA longitudinal data
Authors
김준엽김경희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교육평가학회
Keywords
투사모형; 텍사스 투사점수; 교차분류 다층모형;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Projection model; Texas Projection Measure; Cross-classified multilevel model; NAEA
Citation
교육평가연구, v.27, no.1, pp.23 - 42
Journal Title
교육평가연구
Volume
27
Number
1
Start Page
23
End Page
4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8707
ISSN
1226-354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3과 고2에 치르게 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탐색해보는 작업의 일환으로, 과거 중3-고2 연계된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 시험을 치르는 중3에 대해 고2 성취도에 대한 투사점수를 산출하는 다양한 모형의 타당성을 탐색해 보았다. Texas주에서 활용한 Texas Projection Measure의 산출모형을 기초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자료의 구조와 우리나라 상황에 적용 가능한 2수준 다층모형 및 교차분류 2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고2 성취도 투사방정식을 산출하고, 차년도 중3 성취도에 투사방정식을 적용하여 이들에 대한 고2 투사점수 및 투사등급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투사점수 및 투사방정식을 실제 고2 성취도 및 성취등급과 비교하여 투사모형의 정확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들이 진학하는 고등학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변동성 및 평균으로의 회귀현상에 의한 성적분위별 과대투사 및 과소투사 현상이 포착되었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반영하기 위한 교차분류 다층모형의 적용가능성 및 투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예측변수의 활용 등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ung Hee photo

Kim, Kyung Hee
Liberal Arts (Germ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