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반영지표 vs. 조형지표: 이론적 논의, 실증적 비교, 그리고 실무적 유용성Reflective Indicator vs. Formative Indicator: Theoretical Discussion, Empirical Comparison, and Practical Usefulness

Other Titles
Reflective Indicator vs. Formative Indicator: Theoretical Discussion, Empirical Comparison, and Practical Usefulness
Authors
김중인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마케팅학회
Keywords
조형지표; 반영지표; 측정모형; PLS; 공분산구조모형; 구조방정식; 서비스품질; Formative Indicator; Reflective Indicator; Measurement Model; PLS; Covariance Structur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 Service Quality
Citation
마케팅연구, v.27, no.4, pp.199 - 226
Journal Title
마케팅연구
Volume
27
Number
4
Start Page
199
End Page
22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9204
ISSN
1229-456X
Abstract
그동안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대부분의 실증연구들에서는 무조건적으로 반영지표(reflective indicator)를 적용하거나, 조형지표(formative indicator)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반영지표를 적용하거나, 조형지표를 적용하여 잠재변수의 상대적 영향력(표준화된 경로계수)뿐만 아니라 더 구체적으로 측정지표의 상대적 영향력까지도 분석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형지표의 적용이 드물었다. 그 이유는 그동안 조형지표에 관한 통계프로그램의 지원여부, 모형설정오류(model misspecification), 모형식별(model identification), 반영지표에서 사용되던 확인적 요인분석과 적합도 분석 방법과의 차이, 다중공선성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조형지표의 적용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지금은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이 거의 대부분 제시된 상태이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들도 있다. 한편,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잠재변수보다는 측정지표의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 더 구체적이고 유용하며, 상위수준의 잠재변수보다는 하위수준 잠재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대부분 반영지표를 사용하여 온 반면에, 실무에서는 대부분 조형지표를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가설검증은 향후 연구과제로 필요할 것이며, 만일 그러하다면 학계와 실무 간에 괴리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반영지표와 조형지표에 관해 이론적인 측면에서 논의하고, 하나의 연구모형에 대해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실무적 유용성과 판단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론적 논의는 공분산구조모형(Covariance Structure Model: CSM)과 PLS(Partial Least Square)를 함께 논하였으며, 실증비교는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지원하고 모형식별문제가 없는 PLS를 사용하였다. 실증비교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과 고객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모형에 대해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적용하여 이론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비교하고,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비교한 모형설정의 판단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논문은 그동안 조형지표 적용의 걸림돌이었던 이론적인 문제점들(모형설정오류, 모형식별,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경로계수, 다중공선성 등)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들,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들, 아직까지 개발이 안 된 분석방법 등을 공분산구조모형과 PLS에서의 조형지표모형과 반영지표모형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조형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서만 논의하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와 같이 조형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측정지표 수준에서 제공되는 연구결과의 실무적인 유용성을 고려한 판단방법을 제시하고, 반영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잘못된 마케팅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발견하여 제시한 논문은 그동안 전혀 없었다. 셋째, 반영지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잠재변수간의 인과관계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던 기존 실증연구의 한계를 뛰어 넘어, 앞으로는 조형지표를 사용함으로써 더 구체적으로 조형지표와 잠재변수간의 인과관계까지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영지표를 사용한 기존 연구들도 재검토하여 조형지표를 사용한 추가 연구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하나의 연구모형에 대해 두 가지 측정모형을 적용하여 비교하는 실증분석 과정과 결과를 PLS를 사용하여 제시함으로써 문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PLS를 사용한 실증적인 비교연구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그동안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사용한 측정모형에 관한 비교연구는 거의 대부분 해외학술지에서만 다루어진 반면에 국내학술지에서는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거의 없었으며, 특히 PLS를 사용한 반영지표와 조형지표의 실증적인 비교는 해외학술지에서도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Management >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ng In photo

Kim, Joong In
College of Business Management (Major in Business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