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전통색의 범위와 正間色 구조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scope and the structure of complementary color and neutral color in Korean traditional color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cope and the structure of complementary color and neutral color in Korean traditional color
Authors
이선이박연선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색채학회
Keywords
오방색; 상생간색; 상극간색; 간색설; 전통색; OBANGSAK; compatible neutral colour; complementary neutral colour; a incompatible colour theory; the traditional colour
Citation
한국색채학회논문집, v.26, no.4, pp.87 - 98
Journal Title
한국색채학회논문집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87
End Page
9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9257
DOI
10.17289/jkscs.26.4.201211.87
ISSN
1226-6450
Abstract
한국전통색연구는 오방색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청황적백흑 5가지 오방색과 사이에 만들어지는 간색은 유교의 예서(禮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국문화 중심에는 1700년의 불교가 있다. 그러나 불교사상과 문화로 전통색을 바라보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며 오방과 간색의 개념을 설정할 수 있는 관계 문헌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 색을 논하는 ≪이수신편≫과 ≪규합총서≫, 중국 ≪구고록예설≫의 간색설을 비교하였다. ≪이수신편≫에는 약 80여 가지 색명이 있으며, 병치혼합의 인식을 보인다. ≪규합총서≫는 상생간색의 색명을 언급하고 있다. 이 색명은 한국문헌에서만 등장하지만, 한글로 된 자료를 한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그대로 인용하는 2차 연구에서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한다. 相次의 개념으로 색이 공간적 확장을 한다. ≪구고록예설≫에서는 靑黑黃赤 사행(四行)으로 모든 간색을 상생의 색으로 화합시킨다. 분석결과에 따라 오방, 상극간색, 상생간색 등의 개념을 적용하여, ‘한국전통색의 오방과 간색 구조’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향후 전통문화를 이어나갈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Communication Desig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