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스탤지어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긍정감과 사회유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The Effect of Nostalgia Advertising Content on Purchase Intention : The Mediating role of Self-Positivity and Connectedness

Other Titles
The Effect of Nostalgia Advertising Content on Purchase Intention : The Mediating role of Self-Positivity and Connectedness
Authors
곽예경윤나라김한얼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마케팅학회
Keywords
Nostalgia; Self-concept; Agentic; Communal; Self-positivity; Social-connectedness; Attachment Style; Avoidance; Anxiety; 노스탤지어; 주도적 자아개념; 친화적 자아개념; 자기긍정감; 사회유대감; 애착성향; 불안애착성향; 회피애착성향
Citation
마케팅연구, v.27, no.3, pp.1 - 33
Journal Title
마케팅연구
Volume
27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3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9352
ISSN
1229-456X
Abstract
본 연구는 선험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스탤지어 콘텐트와 소비자의 불안-회피 차원 애착 유형이 노스탤지어 광고를 활용한 제품의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을 이끄는 심리학적 기재는 무엇인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노스탤지어의 콘텐트는 주도적 자아개념을 자극하는 내용을 담은 주도적 노스탤지어와 친화적 자아개념을 활성화시키도록 한 친화적 노스탤지어로 구분하였다. 노스탤지어 광고의 콘텐트와 실험 참가자들의 평소 애착성향의 차이에 따라 각각 주도적 또는 친화적 노스탤지어 주제를 활용한 광고가 어떤 상황에서 왜 노스탤지어의 기능인 자기긍정감과 사회유대감의 향상을 가져와 구매의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와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의 조작을 위하여 주도적 자아개념과 친화적 자아개념을 나타내는 주제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 집합과 노스탤지어 문구를 사용한 디지털카메라 광고를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실험 참가자들에게 불안애착성향과 회피애착성향을 조작하기 위해서 관계의 형태를 서술적으로 묘사한 글을 읽고 기술된 것과 동일한 관계에 있었던 사람과 상황을 시각적인 이미지로 떠올리게 하여 낮은 불안/ 낮은 회피, 낮은 불안/ 높은 회피, 높은 불안/ 낮은 회피, 높은 불안/ 높은 불안의 네가지 조합의 애착상태를 유도하였다. 연구 결과, (1)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자기긍정감을 높이고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사회유대감을 높였다. (2) 불안애착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가진 사람에게서 높게 나타나며 회피애착은 다른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을 가진 사람에게서 높게 나타나므로 불안애착이 높은 참가자는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의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자신에 대한 낮은 자존감을 자기긍정감의 향상을 통하여 상쇄할 수 있었으며, 회피애착이 낮은 소비자는 타인을 신뢰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적으므로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의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사회유대감이 증진되었다. (3) 따라서,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자기긍정감을 유발하므로 주도적 콘텐트를 높은 불안애착유형의 소비자가 소비할 때 자기긍정감이 높아져 노스탤지어 광고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가 높아졌으며,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사회유대감을 유발하므로 낮은 회피애착유형의 소비자가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를 경험하며 사회유대감을 느껴 노스탤지어 광고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가 높아졌다. 노스탤지어 제품 또는 부활된 브랜드(resurrected brand)를 마케팅 하는 기업이 좀 더 효과적인 노스탤지어 활용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의,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토론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oun, Na ra photo

Youn, Na ra
Business Administr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