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공도서관 공간규모계획기준에 관한 기초적 연구- 공공도서관건립 컨설팅지원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Focus on the result of the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

Other Titles
A Basic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Focus on the result of the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
Authors
고흥권임채진임호균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Public Library; Consulting;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공공도서관; 컨설팅; 공간규모계획기준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1, no.4, pp.190 - 199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1
Number
4
Start Page
190
End Page
19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9415
ISSN
1229-7992
Abstract
공공도서관 건립 증가에 따라 전문가의 컨설팅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진행한 공공도서관 건립 컨설팅지원사업의 결과를 컨설팅 전과 후의 공간구성과 면적비율의 비교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정보열람, 평생교육, 문화활동, 업무관리 등 도서관 각부 영역의 적정 공간규모계획기준에 대한 방향을 분석하여 컨설팅진행의 방향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적절한 공간규모산정의 기준을 재정립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은 결과보고서에 소개된 11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컨설팅 전과 후에 있어서 자료열람부문의 비율은 6.4%가 증가하였으며 공용부문은 6.1%감소하였으며, 관리부문과 문화부문은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본래의 의미인 정보의 축적과 공공화에 충실하도록 자료열람공간의 확보를 나타내며 통합관리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지역의 인구와 공공도서관 면적에 따라 신규 건립도서관의 지위별 역할분담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서관의 전체적인 면적구성비율과 더불어 세부적인 열람공간의 크기, 보존서고의 유무 등의 세부 공간구성과 공간규모계획기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ajor in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im, Che Zin photo

Lim, Che Zin
Science & Technology (Major in Architec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