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기업의 전용서체 개발과 배포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Consequences of Brand Identity Letter Type for Brand Image

Other Titles
Consequences of Brand Identity Letter Type for Brand Image
Authors
원종윤김영국
Issue Date
2011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Keywords
Typography Letter Type; Brand Image; 전용서체; 브랜드 이미지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1, no.10, pp.176 - 186
Journal 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ume
11
Number
10
Start Page
176
End Page
18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0105
ISSN
1598-4877
Abstract
2005년 디자인보호법 개정으로 서체가 지적 재산으로 보호받게 되고 정보통신과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서체개발이 활발해 지고 있다. 기업에서는 기업 아이덴티티의 개념으로 전용서체를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졌으며 2010 디자인 서울 프로젝트로 서울시 상징서체를 만들면서 전용서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마케팅 전략이자 디자인 상품으로써 전용서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전용서체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용서체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업이 전용서체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해당브랜드를 창의적인 이미지로 인지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또한 전용서체를 개발하는 활동에 대해 설문 응답자들은 공익적인 활동으로 평가하며 전용서체가 CI와 같이 기업을 상징 할 수 있다는 의견에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인지과학 분야의 문헌 연구를 통해 전용서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려면 서체에 대한 선택적 주의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재인실험을 통해 서체의 반복적인 노출이 전용서체 인지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School of Design and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ung kook photo

Kim, Young kook
College of Design and Arts (School of Design Converg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