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朱子語類≫中的“V得Ca”狀態述補結構小考On 'V+de+Ca'('V得Ca') Complement of State in Zhuzi Yulei

Other Titles
On 'V+de+Ca'('V得Ca') Complement of State in Zhuzi Yulei
Authors
Lin Li
Issue Date
2011
Publisher
중국어문연구회
Keywords
주자어류; 상태술보구조; 의미적 분석; 형식적 특징; 의미적 특징; 사용 빈도
Citation
중국어문논총, no.49, pp.49 - 69
Journal Title
중국어문논총
Number
49
Start Page
49
End Page
6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0309
DOI
10.26586/chls.2011..49.003
ISSN
1226-4555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 140편에 출현하고 있는 모든 ‘V得Ca’형 상태술보구조(狀態述補結構)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존 연구 결과에 공감하는 부분도 있지만 보완하고 재검토해야할 부분도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得’의 문법화 정도, 그리고 ‘得’ 뒤의 A(형용사)의 의미 지향 등에 따라 비록 형식이 같은 ‘V得A’구조라도 술보구조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V得Ca’상태술보구조와 기타 비슷한 ‘V得A’구조들을 구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들을 구별하는 데 의미적인 분석이 역시 중요하다고 본다. 둘째, 술보구조에서 가능성술보구조(能性述補結構)와 상태술보구조의 구별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너무나 광범위한 구별 기준이 사용되고 있는 한계로 인해 필자는 상태술보구조의 형식과 의미상의 특징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고 귀납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을 이용해 ‘V得A’ 술보구조에서 상태술보구조를 찾아낼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일부 학자들은 ≪주자어류≫의 상태술보구조가 이미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관점을 재검토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일부 술어동사와 보어형용사들이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전정도를 판단할 때에는 단순히 총 사용량으로만 판단해서는 안 되며, 일부 동사ㆍ형용사의 중복적인 사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주자어류≫의 어록 문체와 내용적 특징일 수도 있지만 다른 원인들이 있는지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향후에 ≪주자어류≫와 동시대의 다른 작품에 출현한 상태술보구조에 대한 더 자세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Fine Arts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in, Li photo

Lin, Li
Fine Arts (Fine Ar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