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水月, 淸淨慈悲의 美學 -고려시대 水月觀音圖의 ‘水月’의 도상학적 의미-Iconographical Meaning of the "Water-moon" in Goryeo Paintings of Water-moon Avalokiteśvara —Miraculous Response of Avalokiteśvara Symbolized as the "Moon Reflected on the Water"

Other Titles
Iconographical Meaning of the "Water-moon" in Goryeo Paintings of Water-moon Avalokiteśvara —Miraculous Response of Avalokiteśvara Symbolized as the "Moon Reflected on the Water"
Authors
강소연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불교학회
Keywords
Goryeo Buddhist painting; Water-moon Avalokiteśvara; Water-moon (S.udakacandra); Dharmakāya; Nirmānakāya; Miraculous Response; 高麗時代 水月觀音圖; 水月; 滿月之容; 性空法身; 水月應身; 淸淨慈悲
Citation
한국불교학, no.58, pp.386 - 421
Journal Title
한국불교학
Number
58
Start Page
386
End Page
42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0961
ISSN
1225-0945
Abstract
본 논고에서는 먼저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의 양식적 특징과 주요 도상학적 요소를, 수월관음도의 명칭, 즉 ‘水月’에 근거하여 독자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수월관음도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불화임에도 불구하고, 순수조형적 차원에서 접근한 논고는 기존에 다수 있으나, 이에 대한 사상적(또는 불교철학적) 배경과 의미에 대한 고찰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본 논고에서는 水月觀音, ‘水月’(물에 비친 달)과 ‘觀世音菩薩’과의 상관성이 무엇인지, 水月에 내포된 사상과 그 상징성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고려 수월관음도에 어떠한 도상학적 특징으로 묘사되게 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관세음보살의 핵심적 원리인 ‘應身’의 개념이 물에 비친 달, ‘水月’이라는 자연현상과 어떻게 대응되고 비유되었는지, 그 문헌적근거를 추적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화엄경의 대표 주석서인澄觀의 <華嚴經疏> 및 <華嚴經隨疏演義鈔> 등에 나타나있는 法身과 報身, 그리고 應身의 관계가 ‘물에 비친 달(水月)’이라는 메타포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명되고 는 있는지 그 문헌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水月觀音’이라는 명칭 분석과 이에 근거한 도상 해석을 바탕으로,고려시대 수월관음도가 과연 어떠한 사상적 배경에 근거하여 성립되게 되었는지 규명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