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클러스터링을 통한 역세권 잠재 개발역량 평가 연구 : 서울시 2호선 대중교통 용량 및 토지 특성을 중심으로A Study on Evaluating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Station Area Using Clustering : The Case on the Capac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Land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Metro Line 2

Other Titles
A Study on Evaluating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Station Area Using Clustering : The Case on the Capac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Land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Metro Line 2
Authors
이우섭강민희송재인황기연
Issue Date
2021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eywords
역세권 TOD; 대중교통 최대용량; 중심지체계; 개발역량 평가; 서울 지하철 2호선; Station Area TOD; Maximum Capacity of Public Transportation; the Central System; Evaluating of the Development Potential; Seoul Metro Line 2
Citation
국토계획, v.56, no.6, pp.113 - 127
Journal Title
국토계획
Volume
56
Number
6
Start Page
113
End Page
12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005
DOI
10.17208/jkpa.2021.11.56.6.113
ISSN
1226-7147
Abstract
서울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도시기본계획을 서울시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2030 서울플랜을 수립하였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중심지체계를기존의 위계 중심 단핵구조에서 ‘3도심, 7광역중심, 12지역중심’ 의 기능 중심 다핵 공간구조로 개편하였다(서울시, 2014). 이러한중심지체계에 따른 공간구조 분류는 서울의 균형 있는 발전에는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권역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단일 역세권 등 소규모 지역의 특성에 맞는 개발에는 한계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현재 역세권의 개발용량을 토대로 추가적인 개발이 요구되는 지역에 대한 새로운 권역 분류와 함께 역세권 유형화를 통해 잠재적인 개발역량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개발지표를 토대로 역세권 간의 유사성을 고려한 유형화를 위해 군집 분류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클러스터링 분석을적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역세권 TOD 개발을 위해 대중교통 특성과 토지이용 및 건축 특성에따른 현재 개발용량을 토대로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역세권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역세권의 잠재 개발역량을평가한 후, 2030 서울플랜 기반의 중심지체계 재구조화를 제안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