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속 제문(祭文)을 통해 본 바람직한 남성상The Ideal Male Image Shown in a Funeral Oration in the Samdaerok of Korean Novels

Other Titles
The Ideal Male Image Shown in a Funeral Oration in the Samdaerok of Korean Novels
Authors
정선희
Issue Date
2019
Publisher
이화어문학회
Keywords
Samdaerok of Korean Novels; Funeral Oration; Ideal Male Image; Yu-ssi-samdaerok; Hyun-mong-ssang-ryong-gi; Jo-ssi-samdaerok;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제문; 남성상; 「유씨삼대록」; 「현몽쌍룡기」; 「조씨삼대록」
Citation
이화어문논집, no.49, pp.85 - 107
Journal Title
이화어문논집
Number
49
Start Page
85
End Page
10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44
DOI
10.29190/JEKLL.2019.49.85
ISSN
1229-7224
Abstract
본고에서는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삽입된 제문의 양상을 살핀 뒤, 그 중 남성 인물에 대한 제문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어떤 덕목과 특성이 바람직하다고 칭송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소씨삼대록」, 「조씨삼대록」에는 주인공의 서모들의 제문이 들어 있었고, 「유씨삼대록」, 「현몽쌍룡기」에는 주인공 아내인 진양공주, 양정렬의 제문이 들어 있었다. 여기서는 주로 그녀들의 일상과 선행을 칭찬하면서 슬픈 마음을 가눌 수 없음을 토로하였다. 이에 비해, 남성 인물에 대한 제문에서는 「유씨삼대록」의 진공, 「조씨삼대록」의 초공 모두 그들의 자질, 품성, 특성, 행적 등을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었다. 그래서 진공은 효도하고 충성하면서도 호탕하고 웅건한 성품을 지녔고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는 남성상이었음이, 초공은 자상하고 감성적이면서도 예지력과 영험함, 청렴함과 겸손함을 지닌 남성상이었음이 드러났다. 두 작품 모두 형제 중에서 비중이 더 큰 인물의 성품에 대한 품평이 잦았고 제문도 그들을 위해서만 지어졌다. 하지만 두 남성의 자질은 비슷하면서도 달랐는데, 이것이 작품 전체 서사의 방향과 분위기와 관련되어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ung, Sun Hee photo

Jeung, Sun Hee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