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우리 무늬 해석 조선시대 도자무늬를 중심으로Interpretation of the Korean Pattern : Ceramic Pattern of Chosun Dynasty

Other Titles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Pattern : Ceramic Pattern of Chosun Dynasty
Authors
오근재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우리무늬; 기관 없는 신체; 강밀도; 얼굴성과 풍경; Korea pattern; Corps sans Organ; Intensite; Visageite et Paysage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23, no.1, pp.205 - 214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23
Number
1
Start Page
205
End Page
21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484
ISSN
1226-8046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 무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한국성에 대한 또 하나의 열려 있는 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무늬를 태동케 한 소재, 무늬의 매체, 혹은 그것의 전개방식만으로 다른 문화권의 그것들과 차이점을 드러내려고 시도해왔던 그 동안의 무늬연구는 스스로의 한계에 함몰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 무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위해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관 없는 신체와 얼굴성의 논리를 연구를 위한 도구로 차용하였다. 이러한 논리의 창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는 유의미한 해석의 결과를 낳았다. 우리 무늬는 그것이 새겨진 매체와 별개의 신체를 가지지 않았으며 통합된 ‘기관 없는 신체’로부터 탄생된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 무늬는 무늬 나름대로의 신체를 가지면서 시문자의 ‘강밀도’가, 전체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 무늬는 표정으로서의 ‘얼굴성’을 지니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단순한 특정 매체에 실려있는 무늬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무늬를 새겨넣었던 시대정신, 민족적 기질까지 확장 가능한 ‘풍경’에까지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른 문화권에서 발견할 수 없는 우리 무늬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임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