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술수업에서 교사의 권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나의 수업 다시 보기, 우리의 수업 다시 보기Ethnographical Research on a Teacher's Authority in Children's Art Class: Reflection on My Art Class, Reflection on Our Art Class

Other Titles
Ethnographical Research on a Teacher's Authority in Children's Art Class: Reflection on My Art Class, Reflection on Our Art Class
Authors
서제희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Keywords
autobiographical inquiry; ethnographical research; art class; explicit authority; implicit authority; 자전적 탐구; 문화기술적 연구; 미술수업; 드러난 권위; 숨겨진 권위
Citation
미술과 교육, v.11, no.1, pp.85 - 104
Journal Title
미술과 교육
Volume
11
Number
1
Start Page
85
End Page
10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558
DOI
10.20977/kkosea.2010.11.1.85
ISSN
1229-747X
Abstract
본 연구는 나의 수업을 통해 우리의 문화를 읽는 자전적 탐구이자, 문화기술적 연구이다. 아동미술수업에서 교사의 권위는 수업과정 내내 교실을 지배하고 있었다. 수업의 설계에서, 감상 작품의 선정과 설명에서, 이해시키는 방식에서, 제작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결과물에 대한 판단까지 교사의 권위에 의해 아이들의 작품이 탄생되고 있다. 미술수업에서 교사의 권위는 수업관리자로서의 권위, 학습공간의 질서 유지를 위한 귄위와 같은 “드러난 권위”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학습내용과 관련하여 수업 매체 및 기법 선정의 권위, 조형성 판단에 관한 권위, 감상과정에서 지식전달에 관한 권위 등을 “숨겨진 권위”로 분류하여 해석하였다. 미술수업에서 권위의 유형들은 아동들이 수용했다는 것만으로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그 속에 숨겨진 권위의 정당함이 올바른 교육적 의미를 주고 있는 것인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이 행해지는 공간은 교사와 아동간의 권위구조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임을 상기하고 그 권위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