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우울의 관계: SNS중독경향성과 시기심의 순차적 매개효과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Missing Out(FoMO)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NS Addiction Proneness and Envy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Missing Out(FoMO)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NS Addiction Proneness and Envy
Authors
이홍숙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상담학회
Keywords
Fear of missing out; FoMO; depression; SNS addiction proneness; envy; mediation effect; 소외에 대한 두려움; FoMO; 우울; SNS 중독경향성; 시기심; 순차적 매개 효과
Citation
상담학연구, v.20, no.6, pp.137 - 157
Journal Title
상담학연구
Volume
20
Number
6
Start Page
137
End Page
15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60
DOI
10.15703/kjc.20.6.201912.137
ISSN
1598-2068
Abstract
본 연구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SNS 중독경향성과 시기심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 우울(CES-D), SNS 중독경향성과 시기심(DES) 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특성(trait)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SNS중독경향성, 시기심, 우울과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고 상태(state)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SNS중독경향성, 시기심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우울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특성 소외에 대한 두려움, 상태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SNS중독경향성과 시기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SNS중독경향성과 시기심의 순차적 매개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상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거쳐 SNS중독경향성과 시기심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간접 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상담 실제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Counselling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ong Sook photo

Lee, Hong Soo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unselling Psych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