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환상동화 몬스터 캐릭터의조형적 특징에 따른 아동 반응 연구An Analysis of the Monster Images in Fantastic Fairy Tales and Children Preference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Monster Images in Fantastic Fairy Tales and Children Preference
Authors
이윤석조윤주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예술교육학회
Keywords
환상동화; 몬스터 캐릭터; 캐릭터 조형성; 아동 반응; fantastic fairy tales; monster character; formative of character; children preference; fantastic fairy tales; monster character; formative of character; children preference
Citation
예술교육연구, v.7, no.1, pp.139 - 155
Journal Title
예술교육연구
Volume
7
Number
1
Start Page
139
End Page
15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2236
ISSN
1738-8309
Abstract
환상동화의 몬스터 캐릭터는 그림책의 등장인물로 종종 사용되곤 한다. 이러한 몬스터는 환상동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환상성과 극단적인 카테고리인 악, 추에 속함으로 강한 캐릭터성이 표현된다. 이 연구는 이론적 문헌을 통해 추출한 몬스터의 악, 추, 환상성을 기반으로 아동들의 관점에서 보여 지는 몬스터에의 악, 추, 환상성에 대한 조형적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캐릭터의 조형적 요소를 잣대로 각 몬스터 캐릭터 마다 조형 요소들을 추출한 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대입하여 아동들이 선호하는 혹은 선호하지 않는 몬스터 캐릭터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아동들이 ‘좋아하는/싫어하는’, ‘예쁘게 생긴/못생긴’, ‘재미있게 생긴/재미없게 생긴’ 몬스터 캐릭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설문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한 몬스터의 특성인 ‘악’, ‘추’, ‘환상성’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진 문항들이다. 분석 결과 아동들은 과반수의 몬스터를 '싫어'하지만 몬스터에 대해 '흥미'는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환상동화의 등장인물로서 아동들에게 '흥미'롭게 교훈적 내용을 전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아동들은 과하게 사실적인 묘사나 어른의 신체, 추상적인 신체의 비율을 가진 몬스터에게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다. 이러한 결과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에게 몬스터 캐릭터를 표현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