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영화<2046>의 미장센에 나타난 필름공간 분석An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film "2046"

Other Titles
An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film "2046"
Authors
원일훈
Issue Date
2008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필름공간; 복합 공간; 심리적 공간; filmic space; encompass composite space; psychological space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21, no.5, pp.237 - 248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21
Number
5
Start Page
237
End Page
24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2935
ISSN
1226-8046
Abstract
영화에 있어서의 공간(영화적 공간 혹은 필름공간)은 시간과 함께 영화의 내레이션(서사구조)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인간관계가 구성되고, 이야기가 진행되는 배경이며 서사구조에 다양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기능소 역할을 담당한다. <2046>은 공간을 중시하는 왕가위 감독의 특징이 뚜렷하게 표현된 영화이다. 다양한 특징을 가진 필름공간들이 다양한 패턴과 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2046>의 공간은 크게 3개의 대별적인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공간은 1960년대의 혼란스러운 홍콩, 그중에서도 오리엔탈 호텔(동방주점)과 골드 핀치 레스토랑이 중심이 된다. 두 번째 공간은 차우의 기억속의 공간으로 도박사 수리첸(공리)에 대한 추억이 존재하는 싱가포르의 한 도박장이다. 세 번째 공간은 차우가 쓰는 소설 ‘2046’의 배경이 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들이 복합 공간, 모호한 공간, 분리 공간, 심리적 공간, 색채에 의한 공간성격, 반영 공간, 공간적 불연속성, 엿보기의 대상으로서의 공간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관습적인 화면 방향의 구성과 고전적 화면 구도의 관례를 파괴한 독특한 영상구도와 공간적 불연속성을 강조한다. 공간의 역할을 해석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공간의 기능과 그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효과적이고 독창적인 공간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School of Video and Anim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Won, IL Hoon photo

Won, IL Hoon
College of Design and Arts (School of Film and Anim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