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국의 공유공간 비즈니스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커스-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vailable2020-07-10T04:10:36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429-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화의 진행 속도가 빨리 짐에 따라 세계 각국이 서로 연계되고 의존하는 운명공동체가 점점 더 크게 형성되어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공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가치 구현의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공유의 가치는 다원화된 생활을 하게 하는 사회윤리모순 속에서도 공통적으로 내포되고 있으며, 라이프 스타일 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도 ‘공유’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지속가능한 공유가치를 가진 공유 비즈니스 공간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중국에서의 공유 가치의 시대적 필연성과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중국의 공유가치와 공유 비즈니스 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중국에서 공유가치와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성을 종합하여 공간적 특성요소 다섯 가지를 도출한다. 그 결과로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 개방성, 융합성의 다섯 가지 공간적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공유가치의 개념을 가진 비즈니스 공간으로 중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현재 활발하게 운영 중인 다섯 개의 사례에 적용한다. 사례로 선정된 곳은 중국 상하이의 ZhangGarden • FengShengLi, K11 Art Mall Shanghai, New World of Shanghai, 베이징의 ParkviewGreen • FangCaoDi, 무한의 New World of Wuhan로서 현재의 상황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 후, 분석결과를 다이어그램화 하여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본 사례분석 결과는 다섯 가지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성 요소 중 공통적으로 공유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의 공유 비즈니스 공간에서 문화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공공성, 개방성과 융합성은 여러 가지 문화 예술적 행사 및 워크숍 등이 공공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될 수 있는 점에서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성에 부합하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참여성이 기반이 되어야하며, 이는 사용자의 자발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공유가치의 시대적 필연성과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강조 하고자 하였으며, 공간 특성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공유 가치를 개념으로 하는 공간이 제시하는 공간적 특성의 의미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 개방성과 융합성 등의 총 다섯 가지 특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공유가치를 활용한 공유 비즈니스 공간에서 공유성의 정도가 공간적 가치 방향을 결정하며 공공성, 개방성과 융합성에 관련해서 문화 예술적 행사나 공연, 워크숍을 통한 예술가들의 활발한 참여와 그로 인해 방문객들이 쉽게 다 가갈 수 있는 체험적인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셋째, 공유가치를 활용한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징은 비즈니스 복합체를 주요 유형으로 하고, 공간 형태는 삼면집합식(三面集合式)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공간은 대부분 오락, 음식, 쇼핑, 오피스, 호텔, 예술이 주가 되는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배치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중국의 공유공간 비즈니스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Business in China-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주연-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9.14.3.2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o.3, pp.209 - 224-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4-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09-
dc.citation.endPage22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478131-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Common-
dc.subject.keywordAuthorShared Value-
dc.subject.keywordAuthorShared Business Space-
dc.subject.keywordAuthorChina-
dc.subject.keywordAuthorSharing-
dc.subject.keywordAuthor공유-
dc.subject.keywordAuthor공유가치-
dc.subject.keywordAuthor공유 비즈니스 공간-
dc.subject.keywordAuthor중국-
dc.subject.keywordAuthor공유성-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 Yun photo

Kim, Joo Y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