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LSTM 기법을 활용한 수위 예측 알고리즘 개발 시 비정형자료의 역할에 관한 연구: 잠수교 사례Role of unstructured data on water surface elevation prediction with LSTM: case study on Jamsu Bridge, Korea

Other Titles
Role of unstructured data on water surface elevation prediction with LSTM: case study on Jamsu Bridge, Korea
Authors
이승연유형주이승오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수자원학회
Keywords
Unstructured data; Machine learning; LSTM; Water surface elevation prediction; Wordcloud; 비정형자료; 기계학습; LSTM; 수위예측; 워드클라우드
Citation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v.54, pp.1195 - 1204
Journal Title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Volume
54
Start Page
1195
End Page
120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4449
ISSN
1226-6280
Abstract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국지성호우가 잦아져 하천변 사회기반시설을 포함한 인적·물적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설들의 침수 피해를 예측·방지하고자 기계학습 중 시계열자료에 특화된 LSTM(Long Short- term Memory)기법을 활용하여 수위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잠수교로 연구기간은 총 6년(2015년~2020년)의 6, 7, 8월로 3시간 후의 잠수교 수위를 예측하였다. 입력자료(Input data)는 잠수교 수위(EL.m), 팔당댐 방류량(m3/s), 강화대교 조위(cm), 서울시 트윗의 개수로 기존 연구에 주로 사용된 정형자료뿐만 아니라 워드클라우드를 통해 구축된 비정형자료도 함께 사용하여 상호 보완형 자료를 구축하고, 비정형자료 활용 유무의 비교·분석을 통해 비정형자료의 역할도 제시하였다. 잠수교의 수위 예측 시 상호 보완형의 자료가 정형자료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예측 정확도가 향상하였는 데, 이는 인명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수적인 예/경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변 사회기반시설의 이용자 안전 및 편의 제공에 상호 보완형 자료의 사용이 보다 효과적이라 판단하였다. 향후에는 비정형자료의 종류를 추가하거나 입력자료의 세밀한 전처리를 통하여 더욱 정확한 수위 예측을 기대해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 Oh photo

Lee, Seung Oh
Engineering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