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식성을 갖는 접시 지지홀더연구Study of the Plate Holder Design with Decoration Effect

Other Titles
Study of the Plate Holder Design with Decoration Effect
Authors
김석호
Issue Date
2006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Decoration; Support; Holder; 장식성; 접시; 홀더; Decoration; Support; Holder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7, no.4, pp.57 - 67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7
Number
4
Start Page
57
End Page
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4713
ISSN
1598-8635
Abstract
인간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의식주는 기본적인 것이다. 이중 식생활은 생활양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가 흔히 식생활을 말하면 음식 그 자체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음식을 어디에 어떻게 담아서 어떤 식으로 차려놓고 먹는가는 많은 나라와 시대의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음식을 담는 식기 중에서도 특히 도자기 식기류 접시는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흔하게 접하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은 다른 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자기만의 식기를 갖추고 사용하는 데에서 즐거움을 찾고 자신을 표현하려고 한다. 종전에는 이 접시들을 찬장에 수직 적층하여 보관 수납하였다면 이제는 단순한 보관 수납에서 좀더 장식적이고 심미적인 방법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접시를 진열하는 지지 홀더를 만들었다. 본 논문은 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을 ②에서는 우리나라의 식생활 문화와 도자 접시의 역사적 변천사를 문헌을 통해 연구함으로써 제작의 근거로 삼았고 일반적인 도자 접시 종류와 특징, 형태와 역할을 설명하였다. ③에서는 장식의 역사와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도자 식기 디자인의 요소를 분석하고 도면을 작성, 설명, 구성하였다. ④에서는 제작에 사용된 점토와 성형방법, 장식, 유약, 번조방법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⑤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으로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장식적 기능이 있는 접시 지지 홀더를 제작함으로써 우리들의 식탁 공간 계획안에 생활 문화적 특성을 적용해서 심미적이고 현대화된 우리 수납의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교학처 > 교양과(세종)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