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도적 환경차이 하에서 지식거리가 해외법인소유구조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Knowledge Distance on Foreign Subsidiary Ownership Structure under the Different Institutional Environments

Other Titles
The Impact of Knowledge Distance on Foreign Subsidiary Ownership Structure under the Different Institutional Environments
Authors
김경애이정열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국제경영학회
Keywords
지식거리; 해외법인; 소유구조; 기술선진국; 기술후진국; 한국 다국적기업; knowledge distance; foreign subsidiary; ownership structure; technologically advanced countries; technologically developing countries;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 (MNC)
Citation
국제경영연구, v.30, no.2, pp.121 - 144
Journal Title
국제경영연구
Volume
30
Number
2
Start Page
121
End Page
14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507
ISSN
1598-2718
Abstract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1989-2013년간의 67개 피투자국에서 운영되는 1,979개의 한국 다국적기업의 2,913개의 해외법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도적 환경차이 하에서 지식거리가 해외법인 소유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증분석하였다. 한국 다국적 해외자회사의 소유지분 형태를 종속변수로, 지식거리를 ‘기술지식 선진국 직접투자시 지식거리의 역할’와 ‘기술지식 후진국 직접투자시 지식거리의 역할’ 두 개의 세부차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패널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투자기업의 본국보다 기술지식면에서 우월한 국가에 직접투자시, 본국과 피투자국 간에 지식거리가 멀수록 진입전략으로써 균등소유지분(50:50)이나 소수지분형태로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자기업의 본국보다 기술지식면에서 열등한 국가에 직접투자시, 본국과 피투자국 간에 지식거리가 멀수록 진입전략으로써 다수지분형태로 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로 본 모회사 규모와 자회사 규모 및 연령, 피투자국의 시장규모, 시장성장률 및 정치적 안정성의 계수들에서는 모두 양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모회사와 자회사의 규모가 크고, 진출한 피투자국의 시장규모와 시장잠재성장률이 높고, 안정된 사업 환경을 가질수록 다수지분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기타 변수들, 즉 모기업 연구개발집중도, 광고집중도, 국제경험 등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Management >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eoung Yul photo

Lee, Jeoung Yul
College of Business Management (Major in Business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