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구려 문화전통과 거문고Cultural Tradition of Koguryeo Geomun-gp

Other Titles
Cultural Tradition of Koguryeo Geomun-gp
Authors
한흥섭
Issue Date
2005
Publisher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Keywords
Koguryeo music culture; Geomun-go; Geum-do; Chil-hyun-geum; Samguksakiakji; Samgukyusa; Wang Sanak; ‘Hyeongeum’(dark zither); Koguryeo music culture; Geomun-go; Geum-do; Chil-hyun-geum; Samguksakiakji; Samgukyusa; Wang Sanak; ‘Hyeongeum’(dark zither); 고구려 음악문화; 거문고; 琴道; 七弦琴; 三國史記; 樂志; 三國遺事; 왕산악; 玄琴
Citation
인문연구, no.48, pp.279 - 332
Journal Title
인문연구
Number
48
Start Page
279
End Page
3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5515
ISSN
1598-2211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고구려의 문화전통 가운데 거문고 음악문화를 통해 한민족의 문화전통과 정체성을 입증하고, 이로써 고구려의 음악문화가 한국의 문화전통에 속해 있음을 논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거문고 악기의 유래와 개량 형태 및 그 명칭,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의 금도(琴道)에 관해서, 기존의 자료와 그에 관한 연구 성과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교하는 방법을 택했다. 그래서 우선 삼국사기 악지의 거문고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하였다.먼저 형태론에서는 거문고의 개량모델이 된 중국의 칠현금과 고구려 고분벽화의 그림, 그리고 현존하는 거문고를 비교하여 그 특색을 밝혔다. 가장 커다란 변화는 괘()의 존재 또는 괘와 현주의 혼합배치이며, 연주법에서는 반드시 앉은 자세로 한쪽 무릎에 비스듬히 걸쳐놓고 술대를 사용하여 연주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명칭론에서는 거문고가 누구에 의해 어떻게 불렸는지를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관련 기록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거문고는 처음에는 한자식으로 ‘현학금’이라 불렸다가 그 다음에는 ‘현금’, 그리고 마지막에는 우리말식 표현인 고구려의 고 또는 검은 고, 신성한 고 등등의 의미를 지닌 ‘고’라고 불렸다고 추정하였다.이처럼 중국 칠현금과 우리나라 거문고의 이러한 형태와 연주법 그리고 명칭에서의 차이는 바로, 중국의 음악문화와는 다른 고구려 음악문화의 ‘창조적 변이’를 의미하며, 거문고라는 악기는 바로 그러한 창의성의 상징체임을 보다 분명히 하였다. 즉 고구려는 그들 특유의 음악문화를 확립하였다는 것이다. 아울러 그러한 문화전통은 이후 통일신라시대의 금도(琴道)를 통해 계승되고 보편화되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고려, 조선에까지 이어졌음을 거문고의 형태, 명칭, 정신세계(금도) 등을 통해 논증하였다. 이로써 우리 민족은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고구려의 문화전통을 유지하고 계승 발전시켰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고구려의 역사는 적어도 음악문화전통의 측면에서는 중국이 아닌 우리의 역사라는 것을 거문고 음악문화를 통해 밝혀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Liberal Arts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