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상감청자 운학문매병의 비례미 연구Study on Proportion beauty of Celadon Porcelain Inlaid with Crane and Asiatic Globeflower

Other Titles
Study on Proportion beauty of Celadon Porcelain Inlaid with Crane and Asiatic Globeflower
Authors
김석호이승용
Issue Date
2005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청자상감; 황금비례; Inlay Celadon; Gold Section; Inlay Celadon; Gold Section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6, no.1, pp.365 - 375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6
Number
1
Start Page
365
End Page
37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5605
ISSN
1598-8635
Abstract
세계도자의 역사에서 가장 먼저 청자를 만들기 시작한 나라는 중국이었지만 우리나라는 중국 청자의 영향을 자체 생산으로 연결시켜 독자적 문화로 발전시킬 수 있었던 유일한 나라였다. 특히 상감청자는 우리나라가 이룩한 위대한 발명이었고 상감청자 중에서도 최고 명품으로 꼽히는 것은 운학문매병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 조상들로부터 오랜 세월 동안 사랑받아온 상감청자 운학문매병은 세계인들에게도 사랑받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의 기준은 시간, 공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다르다. 급히 돌아가는 사회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더욱 다양하고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러나 빠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감청자 운학문매병은 과거에서 지금까지 사랑받고 있고 세계적으로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운학문매병이 사람들에게 널리 사랑 받는 까닭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근본적인 아름다움을 고려청자가 가지고 있다는 것인데, 그 은근한 미의 아름다움에 관하여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자상감 운학문매병의 형태미를 주관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좀 더 과학적이고 현대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청자상감의 수학적 근원 및 지각적 미의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조형성을 살펴보고 인간이 지각하고 있는 상감청자 운학문매병의 이상적인 비례 즉, 황금비례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와 같이 비례미 검증연구를 통하여 도자 제품 및 작품 제작함에 있어 형태적인 비례에 황금비례를 적용한다면 절대적인 아름다움에 보다 근접할 수 있다는 제시를 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교학처 > 교양과(세종)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