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현대광장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동서양 광장 공공성 평가항목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건화-
dc.contributor.author임선희-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22-05-23T06:44:23Z-
dc.date.available2022-05-23T06:44:23Z-
dc.date.created2022-05-23-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7875-
dc.description.abstract(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공공공간과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도 증가하고 있다. 이 때, 공공성에 대한 동양과 서양의 해석이 다르므로 광장의 공공적 특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더욱 포괄적인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 동서양의 공공성에 대한 관점을 종합하여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동서양의 공공성 개념 및 공간구성 방법론과 광장 공공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장의 공공성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 동서양 공공성의 철학적 개념과 동서양의 공간구성 방법론을 분석해 동서양 광장의 공공적 특성을 도출하였고,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최근 10년 내 설립된 현대광장을 대상으로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별 점수를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최근 10년 내 설립된 현대광장의 공공성 적합도는 강함~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공성 평가항목별 적합도는 공간인지에서 매우강함~강함, 공간구성에서 강함, 공간사용에서 강함~보통, 공간참여에서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공성 평가 세부항목별 적합도는 맥락성에서 매우강함~강함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편리성에서 보통 수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광장 공공성 평가항목별 종합점수의 순위를 살펴보았을 때 B(공간인지) > C(공간구성) > D(공간사용) > A(공간참여)의 순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가 제시하는 광장의 공공성 평가항목은 공간참여, 공간인지, 공간구성, 공간사용 총 4가지 항목이며, 세부항목은 참여성, 개방성, 맥락성, 정체성, 접근성, 연계성, 가변성, 편리성, 쾌적성, 점유성 총 10가지 항목이다. 광장 조성 시 공공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의지를 반영할 수 있도록 참여 보장과 의식 고취 등의 방법으로 시민의 공간참여를 강화해야 하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공간 설계 및 필수 편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향후 광장의 공공성 평가지표를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추가 사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광장의 공공성과 관련된 연구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기대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현대광장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동서양 광장 공공성 평가항목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nalysis on Publicness of Contemporary Public Squares -Based on Eastern and Western Publicness Assessment Criteria--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주연-
dc.identifier.doi10.35216/kisd.2022.17.3.27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7, no.3, pp.273 - 284-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7-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73-
dc.citation.endPage28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83599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Contemporary public square-
dc.subject.keywordAuthorEast and west-
dc.subject.keywordAuthorPublicness-
dc.subject.keywordAuthorSpatial theory-
dc.subject.keywordAuthorPublicness assessment criteria-
dc.subject.keywordAuthor현대광장-
dc.subject.keywordAuthor동서양-
dc.subject.keywordAuthor공공성-
dc.subject.keywordAuthor공간방법론-
dc.subject.keywordAuthor공공성 평가항목-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 Yun photo

Kim, Joo Y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