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크래프티비즘(Craftivism)의 변천과정을 통해 본 여성수공예에 관한 연구A Study on Women's Handicrafts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Craftivism

Other Titles
A Study on Women's Handicrafts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Craftivism
Authors
김정지공새롬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바느질; 여성성; 여성수공예; 행동주의; 크래프티비즘; needlework; feminity; women’s handicrafts; Activism; Craftivism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22, no.3, pp.95 - 106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22
Number
3
Start Page
95
End Page
10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9504
DOI
10.47294/KSBDA.22.3.8
ISSN
1598-8635
Abstract
오랜 시간 동안 여성의 가장 큰 가치는 가사와 육아라는 암묵적인 시대적 요구가 계속되었지만, 점차수공예를 통해 가부장적 관습에 도전하고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변화시키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주의적 편견 속에서 그 가치가 저평가되었던 여성수공예의 역사적 변천사를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고찰하며 여성의 인식 변화에 어떠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는지 분석하는것이다. 연구 방법은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수공예의 특징을 시대별로분리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산업화로 인해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여성들이 노예제도 폐지, 여성 참정권을 요구하는 정치적 선전물을 바느질로 제작한 이유와 전시(戰時) 같은 국가 위기 시에 뜨개질을 통해 남녀노소 모두가 단합된 사례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를 만나 어떻게 취미활동에서 소득활동으로 확장되어 여성들의 삶에 영향을 주었는지 역사적 문헌 및 관련 논문 등을 참조하며 조사하였다. 그 결과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내려오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음에도 여성수공예는 아마추어적, 단순 노동으로 여겨졌으나 점차 시대적 변화를 통해 여성들을 대변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이러한 공예활동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경제적 지위 향상에 도움이되었으며 여성의 대표적인 가사 노동인 바느질을 통해 정치적 의사 표명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여성의 인권뿐만 아니라 환경문제, 정치, 사회적 문제 등을 다룰 수 있는 대화의 창으로 활용되었다. 뉴미디어 시대 때 등장한 인터넷은 기존 가정 안에서만 이루어진 여성수공예를 공공시설로 범위를 넓혔으며 디지털 기술을 만나 전 세계로 확장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수공예를 다루는 것이 그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었음을 확인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Department of Metal Art and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ng ji photo

Kim, Jung ji
Fine Arts (Metal Art &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