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국 명·청대 의례용 초상화에 나타난 사서인 여성상 연구Representations of the Women Belonging to the Non-elite Class in the Ritual Portrait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Other Titles
Representations of the Women Belonging to the Non-elite Class in the Ritual Portrait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uthors
지민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Keywords
Portrait; Ancestral Portrait; Visual Representation of Women; Ming and Qing Dynasties; Chinese Household Goddess; 초상화; 여성화; 조종화; 명 청대; 가택신
Citation
아시아여성연구, v.61, no.2, pp.177 - 204
Journal Title
아시아여성연구
Volume
61
Number
2
Start Page
177
End Page
20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0382
ISSN
1225-9241
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지 못했던 명 청대 사서인의 의례용 초상화 속 여성상에 집중하여, 남성 초상과 비교했을 때 두드러지는 특징으로서 여성 초상의 ‘정형성’과 ‘비독립성’의 의미를 분석한다. 여기에서 ‘정형성’은 인물의 개성이 삭제된 여성들이 명부의 상복을 입고 배경에 상서로운 의미의 모티프를 둔 모습으로 나타나며, ‘비독립성’은 그 초상의 제작과 사용에 있어서 남성 초상화와 항상 함께 나타남으로써 드러난다.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특징이 당시 여성 개개인의 기질과특성을 표현하는 언어가 부재함으로서 나타난 결과임을 지적한다. 나아가 여성에 대한 평가기준이 엄격하게 자리 잡고 있었던 중국 전통사회에서, 함부로 대상화할 수 없고 평가할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남성 조상과 같은 위치에 둘 수도 없었던, 여성조상들에 대한 남성들의 이중 가치가 초상화 속 여성 표현의 빈곤함으로 드러났음을밝힌다. 논문은 마지막으로 남성들이 여성 조상에 대한 인정과 업적 평가를 포기하면서도 효자로서의 역할과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여성 조상을 가택의 신으로 격상시키려 했으며 이를 위해 초상화를 활용했음을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Department of Art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i, Min kyung photo

Ji, Min kyung
Fine Arts (Art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