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A Study on Active Spatial Elements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Other Titles
A Study on Active Spatial Elements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Authors
최정필이재규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Keywords
Integrated art education; Spatial composition; West Seoul Arts Center for Learning; 통합예술교육; 공간 구성; 서서울예술교육센터
Citation
한국디자인리서치, v.7, no.3, pp.300 - 317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리서치
Volume
7
Number
3
Start Page
300
End Page
31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0423
DOI
10.46248/kidrs.2022.3.300
ISSN
2508-2817
Abstract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우리의 삶 속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예술가 전문양성 교육에서 끝나지 않고, 예술 체험을 통해 감성과 인성을 성장시켜주는 전인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근원이 될 수 있는 통합예술교육은 앞으로의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공간 운영의 지향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예술교육의 개념과 활동적 공간 요소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국내 최초로 조성된 문화예술교육 공간인 서서울예술교육센터의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외의 통합예술교육 사례 분석과 지역과 사회적 환경의 특성, 그리고 일상에서의 발달 단계별 예술 체험 활동을 통해 적용된 공간적 요소를 연구한 결과, 외부적 환경에 따른 공간 요소인 지역사회와의 통합, 자연 환경과의 통합, 삶과 상호작용적 통합 및 공간 내부의 통합적 예술교육 활동을 위한 공간 요소인 가변성, 개방성, 유연성의 특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와 내부적 공간 요소가 적용되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는 지역의 특성을 담은 커뮤니티 활동공간 조성과 자연 생태적 환경을 고려한 ‘자연 속 빈 공간’의 이미지에서 시민의 예술 창작으로 채워가는 시민 미술관 환경 조성, 그리고 가변성, 개방성, 유연성의 요소를 적용한 디자인 개선을 통한 열린 공간으로 친화적 접근성을 높여 권역적 거점 문화예술교육공간의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다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공간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ae Kyu photo

Lee, Jae Kyu
산업미술대학원 (Major in Spatial De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