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볼류메트릭 기술의 모바일 최적화를 위한 UX관점의 우선순위 도출 - 화질과 반응속도를 중심으로-Prioritization of a UX Perspective for Mobile Optimization of Volumetric Content - Focusing on visual quality and speed-

Other Titles
Prioritization of a UX Perspective for Mobile Optimization of Volumetric Content - Focusing on visual quality and speed-
Authors
이 민 화박 인 평윤 재 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Keywords
볼류메트릭; 모바일 고객 경험; UX; volumetric; UX; mobile CX
Citation
한국디자인포럼, v.27, no.4, pp.107 - 116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포럼
Volume
27
Number
4
Start Page
107
End Page
1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0610
DOI
10.21326/ksdt.2022.27.4.010
ISSN
2233-9205
Abstract
연구배경 최근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다.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논의와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볼류메트릭 4D 기술은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이는 의류, 광고, 게임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으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는 아직 볼류메트릭 4D영상을 내제하기 위한 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볼류메트릭 콘텐츠의 모바일 최적화를 위해서, 사용자 경험(UX)관점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향후 볼류메트릭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의 모바일 서비스 압축률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볼류메트릭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로 실제 App을 제작하여, UX 만족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는 볼류메트릭 콘텐츠의 모바일 최적화 시, 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화질과 속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측정하기 위함이었다. 때문에, 볼류메트릭 콘텐츠의 실험물을 ‘화질’,‘반응속도’에 차등을 주어 ‘압축 2회 화질-정상 가동 속도’, ‘압축 1회 화질 - 0.2sec 딜레이 속도’, ‘원본 화질 - 0.4sec 딜레이 속도’ 3가지 유형으로 볼류메트릭 모바일 콘텐츠 실험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유용성’, ‘매력성’, ‘몰입’, ‘만족도’를 사용경험 평가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이를 20대, 30대, 40대 남성/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세대 별 혹은 성별로 화질과 반응 속도 중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분석은 One-way ANOVA를 통해 집단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다각화된 실험 결과 분석을 위해, 연령과 성별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UX측면에서 볼류메트릭 콘텐츠를 모바일에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화질과 반응속도 중 ‘반응 속도’를 우선으로 고려해야한다는 의견이 다수 언급되었다. (예외적으로 30대 남성의 경우, 모든 평가 항목에서 화질과 속도의 우선순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사용자들은 볼류메트릭 기술의 화질 보다는 정상 반응 속도를 통한 콘텐츠의 원활한 재생, 콘텐츠 확대 및 돌려보기와 같은 원활한 인터랙션에서 더 큰 편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볼류메트릭 기술을 모바일 최적화하기 위해서, 현재의 기술로는 화질과 반응속도를 모두 정상의 수준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때문에, 사용자 관점으로 화질과 반응속도 중 어떤 부분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고, 최적화를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질보다는 반응속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해당 결과는 실험물이 ‘운동 학습 콘텐츠’였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운동 학습이라는 목적이 속도를 더 중요시하는 요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다른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더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un, Ray Jae yung photo

Yun, Ray Jae yung
College of Fine Art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