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강대교 폭파 희생자 위령비 디자인 개발The Design of Memorial space for the Victims of Hangang Bridge Explosion

Other Titles
The Design of Memorial space for the Victims of Hangang Bridge Explosion
Authors
맹필수
Issue Date
Feb-2023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Keywords
위령비; 추모공간; 공공디자인; 풍경; 은유적 해석; Memorial; Memorial space; Public design; Landscape; Metaphorical interpretation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1, pp 441 - 452
Pages
12
Journal Titl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18
Number
1
Start Page
441
End Page
45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0856
DOI
10.35216/kisd.2023.18.1.441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죽음으로 인한 슬픔, 고통, 상실감은 충분한 추모와 애도로 치유해야 한다. 특히, 전쟁 및 사회적 재난으로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는 사회 구성원들의 집단 기억 및 심리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 당시 한강대교의 폭파로 사망한 민간인(800여 명 추정)의 넋을 기리기 위해 설치한 위령비의 디자인 개발과정을 기록하고 이를 주제로 삼아 향후공공디자인으로서의 위령비와 추모공간 기획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디자인 개발을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이진행되었다. 첫째, 위령비 및 추모공간의 역사와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해를 폭넓게 하였다. 둘째, 국내 사례조사를통해 한국전쟁 민간인 피해자 위령비 현황을 파악하였다. 셋째, 해외 사례조사를 통해 위령비 및 추모공간의 선진 모형과 공공디자인으로서의 지향점을 설정하였다. 넷째, 디자인 계획과 프로세스 과정에서 디자인 기본방향 및 대상지를 선정하고, 조형 및 재료, 구조, 세부 디테일 디자인을 발전시켰다. (결과) 국내외 사례조사 분석 결과, 주변 환경의 맥락에 조화를 이루는 위령비는 풍경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특히 사건이 일어난 장소에 설치된 추모공간은 그 사건과 공간을 은유적으로 해석하는방식으로 추모의 의미를 더 강하게 공명하도록 도왔다. 이에 당시 한강대교 폭파지점을 가까이서 조망할 수 있고, 일상적인 추모뿐만 아니라 위령제 등 행사에 적합한 노들섬의 하단부 남측 틈새정원을 위령비의 설치 위치로 선정하였다, 틈새정원 속 삼각형모서리 땅을 반영한 유선형의 낮은 사면체 형상의 위령비를 설치하여 위령비를 통해 한강대교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홍수 시 수시로 물이 차는 하천구역인 대지에서의 유실 위험을 고려하였다. 날씨, 계절 등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고, 재료적 독자성을 가지면서도 주변 풍경과 어울리는 동주물로 위령비를 제작하였다. 희생자의 넋이 오랜 기간 노들섬의 콘크리트포장 구조물 사이를 뚫고 자라난 자생 식물들로 피어난 것으로 비유하여 노들섬의 들꽃들을 음각으로 조형물에 새겨 넣었다. 또한 자생 수목과 초화를 콘크리트 구조물, 석재와 함께 추가로 심어 노들섬의 역사를 반영하고 기존의 풍경에 어우러지는 추모공간을 구성하였다. (결론) 역사적 사건 혹은 사회적 재난과 관련한 추모공간 및 위령비의 건립은 일상의 공간에서 삶의 의미를 되뇌고 충분한 추모와 애도의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국내 유사 위령비 사례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재료와 비석의 형태를 벗어나 사건이 일어난 공간의 풍경을 조망하도록 하는 공간디자인의 관점을 바탕으로 과거 사건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추모의 의미를 공명하고자 한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위령비와 추모공간은 본 연구의 사례들처럼 공간디자인의 관점과함께 다양한 형태와 범위로 확장되어 갈 것으로 판단되며, 본 사례가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chitecture > Architecture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