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머신러닝 기반 환경색채 분석을 통한 색채관리에 관한 연구 -에코시티 해외 사례 중심으로-A Study on Color Management through Environmental Color Analysis based on Machine Learning - Overseas cases of Eco-City -

Other Titles
A Study on Color Management through Environmental Color Analysis based on Machine Learning - Overseas cases of Eco-City -
Authors
김미숙이윤진
Issue Date
Feb-2023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Keywords
환경색채; 에코시티; 색채관리; 기계학습; K 평균 군집화; Environmental Color; Eco-city; Color Management; Machine Learning; K-mean Clustering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1, pp 245 - 254
Pages
10
Journal Titl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18
Number
1
Start Page
245
End Page
2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0866
DOI
10.35216/kisd.2023.18.1.245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주거지 창출을 위해 다양한 신도시 개발 및 주거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환경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 재개발 및 신도시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도시개발은 해당 지역의 고유한 지역성을 쇠퇴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도시의 역사적 그리고 문화적, 거주민의 정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여기서 색채관리는 일관성 있는 도시 계획 및 개발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색채관리는 주변환경과의 조화, 목적에 맞는 색채 개발 등 색채 관련 모든 부분을 총괄하는 상위 개념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색채관리를 통해 경관 구조 개발의 방향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자연환경과 인공물을 조화시키고자 해외 각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어떻게 색채를 활용하였는지 알아봄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색채 가이드라인에 대한 제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역성을 고려하면서도 친환경 정책적 요소가 적용된 에코시티의 환경색채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첫째, 본연구의 이론적 고찰로, 환경색채의 정의 및 역할, 기능, 지역성, 색채관리, K-Mean Clustering에 관련 의미를 정리하였고, 둘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에코시티 해외사례의 환경색채 분석을 하였다. (결과) 먼저 캐나다 도크사이드 그린은 수변공간에Vivid톤의 절제된 색채 사용으로 인해 도시 전반에 걸쳐 다이나믹한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었다. 독일 메세스타트 림은 자연과조화로운 고명도 색채를 적용하여 난색계열의 색상이 많음에도 깨끗하고 시원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었다. 스웨덴 하마비 허스타드는 무거운톤의 색채를 사용하였고, 주변의 녹지와 대비되는 색채의 사용으로 자연을 돋보이게 한다. 영국 베드제드는 다양한 소재와 건물 지붕 위 환풍기에 적용된 포인트 색채로 독특한 이미지를 형성하여 도시의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다. 핀란드 비키는 고명도 중채도의 색채를 적용하여 편안하고 온화한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UAE 마스다르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고자 지역색을 건물 외장색채에 적용한 것이 특징이며, 독창적인 건물 형태와 조화로운 색채계획이 반영되었다. (결론) 이는 각나라의 에코시티마다 지역의 정서와 역사, 주변 환경, 거주민들의 정서에 따라 색채 경향이 다르게 계획되고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성을 고려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색채계획을 통해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해당 사례들로만은 색채가이드라인을 세밀하게 만드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지역성을 고려한색채관리 측면에서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색채관련 전문가 집단을 주축으로 환경색채 혹은 지역색 지침 표준화 색채가이드라인개발 및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주기적인 색채관리 교육 등이 필요하고, 추후 연구에서는 카테고리별 색채관리 가이드라인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Youn Jin photo

Lee, Youn Ji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Color Integrated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