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동의 동굴 놀이 공간의 호감구조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for Cave Play Spac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for Cave Play Space
Authors
양명월조택연
Issue Date
Mar-202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Children(아동); Cave Play Space(동굴 놀이 공간); Evolutionary Aesthetic(진화미학)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9, no.1, pp.173 - 182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9
Number
1
Start Page
173
End Page
18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025
ISSN
1598-6497
Abstract
동굴 공간은 여러 나라에서 어린이 놀이 공간 설계에 사용되고 있다. 동굴 공간은 발달기 아동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응용할 수 있어, 놀이시설로서 활용도가 높다. 그러나 디자이너는 동굴 놀이 공간을 디자인할 때 이전 디자인 경험에 의존하거나 단순히 스타일을 모방하는 것에 그쳐, 어린이들이동굴 놀이 공간을 선호하는 본질적인 구조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화미학 이론을 바탕으로, 초기 인류가 동굴 공간을 사용한 구조를 먼저추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동굴형 놀이 공간의 다양한 사례들을 수집하여, Prospect & Refuge(전망과 보호성) 그리고 탐색성의 두 가지 공간적 특성을 요약했다. 그런 다음 진화미학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동굴 공간이 어린이의 선호를 유발하는 이유를 탐구했다. 첫째, 구석기시대 전부터 동굴 공간은 아동의 거주와 놀이, 학습의 중요한 장소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인류의진화 과정 99.8%를 함께하며 문명 이전까지 계속하여사용되었다. 둘째, 동굴형 놀이 공간은 어린이들이 주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전망창구와 자기 보호의 피난처를 제공한다. 따라서 동굴은 어린이의 생존에 도움이 되었고 그 결과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셋째, 이공간의 탐색성(적절한 불확실성)은 어린이의 호기심을유발하고 탐구 행동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신경 미학의 연구들에 따르면, 어린이가 동굴형 놀이 공간을탐색할 때 뇌의 보상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도파민 분비를 자극해, 어린이의 기분을 좋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도파민은 주목성을 높임으로써 그상황을 학습하게 한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동굴 공간을 선호하는 이유는, 이 공간이 진화적으로 어린이 두뇌의 메커니즘에 의한 발달 욕구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의 동굴 놀이 공간에 대한 호감의 구조를 진화미학과 신경 미학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 놀이 공간 디자인에서 동굴놀이 공간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Taig youn photo

Cho, Taig yo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