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집트 ‘아랍의 봄’에 나타난 저항 예술의 소통적 함의 :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적 분석 관점으로Communicative Implications of Resistance Art in Egypt’s ‘Arab Spring’

Other Titles
Communicative Implications of Resistance Art in Egypt’s ‘Arab Spring’
Authors
김한별김설아
Issue Date
Mar-2023
Publisher
인문콘텐츠학회
Keywords
아랍의 봄; 재스민 혁명; 이집트 민주화 운동; 저항 예술; 사회 운동; 헤테로토피아; Arab Spring; Jasmine Revolution; Egyptian democratizatio movement; Activism art; Social movement; Hétérotopia
Citation
인문콘텐츠, no.68, pp.461 - 484
Journal Title
인문콘텐츠
Number
68
Start Page
461
End Page
48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093
ISSN
1975-4469
Abstract
이 연구는 ‘아랍의 봄’이라 불리는 아랍 민주화 과정에서 보인 이집트 대중 거리 예술과 레토릭 등의 저항 예술 행위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에 비춰 해석한다. 이집트는 2011년 ‘아랍의 봄’을 겪었던 여러 중동 국가들 중, 시민 혁명을 통해 정권교체를 이룬 몇 안 되는 나라이다. 민주화 운동 당시 일어난 동시다발적인 집단 예술저항운동은 혁명이 성공에 이르는 데 있어 중요한 기여를 한 요소이다. 이 저항 예술은 혁명 기간 동안, 또는 공식적인 혁명이 끝난 이후에도 이집트 사회 내에서 지속되는 양상을 띠었다. 저항예술 운동은 ‘도시의 주요 공간(광장)-온라인-초연대의 형성’으로 진화하며 시위의 양상을 바꾸었고, 사회운동 공간에서는 참여자 간 중요한 소통의 매체가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사회 운동에 나타나는 저항 예술의 의미를 검토하고, 이어 이집트 민주화 운동에 나타난 저항 예술의 변화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이론에 기반해 3단계, 즉 실재 공간 저항의 헤테로토피아, 온라인의 비실재 공간의 헤테로토피아, 새로운 공간의 리좀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우리는 구체적으로 이 사회적 저항 운동의 한 형태였던 레토릭과 이미지의 예술적 표현 활동들이 어떻게 헤테로토피아 개념이 내포한 ‘권력에 대한 대항’ 공간을 창출하는데 구체적으로 관여하고 있는지를, 실제 사례를 통해 면밀히 살펴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oel Ah photo

Kim, Soel Ah
Liberal Arts (French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