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AR 페이스 필터 적용에 따른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Social Dating Service based on the AR Face Filter Application

Other Titles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Social Dating Service based on the AR Face Filter Application
Authors
박주연윤 재 영
Issue Date
Apr-2023
Publisher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eywords
AR Face Filter; Social Dating Service; User Experience
Citation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22, no.2, pp.19 - 34
Journal Title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olume
22
Number
2
Start Page
19
End Page
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129
ISSN
2287-4089
Abstract
현재소셜데이팅서비스내에서AR페이스필터에대한적극적인활용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상대방의 외모가 중요하게 고려되는 소셜 데 이팅 서비스 내에서의 AR 페이스 필터 적용이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경험 일 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데이팅 서비스 내 AR 페이스 필터 적용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AR 페이스 필터 적용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적 합한 활용 방향을 제언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얼굴 적용부위에따라AR페이스필터적용유형을적용안함,얼굴일부적 용, 얼굴 전체 적용으로 나누어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유용성, 신뢰성, 친밀감, 즐거움, 재사용 의도)을 측정하였고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대에 따른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AR 페이스 필터를 적용하 지 않았을 때 소셜 데이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은 가장 긍정적이었 고, 얼굴에 전체 적용했을 때에 비해 일부 적용했을 때 상대방에 대한 거부 감이 덜했다. 또한 성별에 따라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조절 효과가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사용 상황 중 채팅 기능에서 연결 기능에 비해 AR 페이 스 필터 적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un, Ray Jae yung photo

Yun, Ray Jae yung
Fine Art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