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체 검색 유사도 향상을 위한 연결망 구조의 한글 글꼴분류 체계 제안Hangeul Font Classification System Proposal of a Network Structure for Improved Font Search Result Similarity

Other Titles
Hangeul Font Classification System Proposal of a Network Structure for Improved Font Search Result Similarity
Authors
박지은양효정이애리정영훈임순범안병학
Issue Date
1-Jan-2023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한글; 서체; 서체 검색 서비스; 글꼴분류체계; 한글 글꼴분류체계; 연결망 구조; 연결망 구조의 한글 글꼴분류체계; Hangeul; Font; Font Search Service; Font Classification System; Korean Font Classification System; Network Structure; Hangeul Font Classification System of Network Structure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36, no.2, pp.145 - 169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36
Number
2
Start Page
145
End Page
16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216
DOI
10.15187/adr.2023.05.36.2.145
ISSN
1226-8046
Abstract
연구배경 서체는 그 탄생 동기와 맥락이 글꼴로 환원된 결과이다. 서체는 일단 형식화된 후에는 글꼴 사용의 목적, 용도를특정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서체는 사용자의 새로운 사용 목적과 환경이라는 맥락 속에 편입되면서 새로운 맥락을 획득하기 때문에 글꼴의 인상을 객관화된 지표로 판단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서체 검색 서비스는 다양한 인상의 서체 중 사용자의목적을 고려한 최적의 서체 제공에 도움을 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현재 상용되는 한글 서체 검색 서비스가 토대로 삼는 글꼴분류체계는 서비스마다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사용자가 객관적인 판단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 대부분의 한글 서체검색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글꼴을 찾을 수 있도록 용도, 감정, 형태 등 글꼴 정보를 단계적으로 판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새롭게 나타나는 글꼴 종류와 형태, 용도, 기술 등 상세 사양을 업데이트하기 어려워 사용자는 찾고자하는 글꼴의 정확한 정보를 얻기 쉽지 않다. 나날이 그 영역과 범위가 확장하는 서체 사용 환경에서 서체 검색 서비스는 다량의글꼴 정보를 포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변해야 한다. 이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현행 서체 검색 서비스에서 활용하는 글꼴분류체계의 문제를 재검토하고, 다양하고 복잡한 글꼴 분류 정보를 유기적으로 조합해사용할 수 있는 연결망 구조의 새 글꼴분류체계 마련 방향과 기준을 제공했다. 연구방법 연구는 이론 고찰과 사례 분석으로 진행했다. 사례 분석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글꼴분류체계를 현재 서체 검색서비스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와 이를 적용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검토했다. 검토와 사례 분석 결과, 이 문제들이 글꼴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분류 구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규정했다. 이 문제를 ‘계층식 구조’와 ‘연결망 구조’의 정보 전달 다이어그램 유형과 연결 지어 전자는 현행 글꼴분류체계로 규정하고, 후자는 서로 다른 기준에 놓인 정보가 마주하며 교집합을 형성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것이 현행 글꼴분류체계의 ‘계층식 구조’와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지 비교 고찰하고, 기존의 대안으로서 연결망 글꼴분류체계의 가능성과 설계 방향, 기준, 예시를 제시했다. 연구결과 한글 서체 검색 서비스에서 지속해서 새로운 글꼴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어려운 문제는 이를 활용한 현행 글꼴분류체계의 계층식 분류 구조에서 비롯되었다. 이 구조에는 부리, 굵기, 폭과 같은 글꼴의 형태, 저작권, 포맷 등 글꼴에 포함된 많은 정보를 특정 기준을 바탕으로 위계식으로 분류하여 일반화하는 모순이 있다. 반면, 대칭적 명제를 강조하는 연결망 구조는특별한 계층 구분 없이, 글자의 복잡한 정보를 동일 선상에 놓고 그 관계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분류 구조가 현행 글꼴분류체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글꼴의 형식을 분류하는 정보 수집과 구분에 근거한 글꼴 기초 분류 기준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기존 글꼴분류체계의 기준 항목과 글꼴 판독 관련 다양한 문제들을 재검토하여 종합적인 재편집을 시도했다. 이렇게글꼴 분류 기준과 키워드를 새롭게 제안한 결과로 연결망 글꼴분류체계 모형을 제작해 활용의 예시를 제안했다. 결론 한글은 글꼴 형태, 표현, 용도 등 특정 기준만으로는 글꼴 변별력을 판단하기 어렵다. 게다가 전문가뿐만 아니라다수의 일반인도 직접 서체를 고르고 사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서체 검색 서비스를 통해 쉽게 원하는 글꼴을 찾기 위해서는서비스의 토대를 이루는 글꼴분류체계가 더 정교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기존처럼 위계화된 분류체계로 사용자의 다양한 미감에 세밀하게 부합할 수 있는 서체 검색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이 연구가 제안하는 연결망 형식의 글꼴분류체계가 그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글꼴 관련 공통 용어의 정의, 딥러닝을 통한 글꼴 구조 및 형태 정보 분석 등 글꼴 선택과 관련한 후속 연구에 이 연구 결과가 제안하는 연결망 글꼴분류체계가 의미 있게 쓰일 수 있길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Ahn, Byung hak photo

Ahn, Byung hak
Fine Art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