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ICT 기반 스마트 피트니스 경험요인 평가 및 노인을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 서비스 방안과 시나리오 제안Evaluation of ICT-based Smart Fitness Service Experience Factors and Proposal of Smart Fitness Service Directions and Scenarios for the Elderly

Other Titles
Evaluation of ICT-based Smart Fitness Service Experience Factors and Proposal of Smart Fitness Service Directions and Scenarios for the Elderly
Authors
홍희수구유리
Issue Date
1-Jan-2023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Smart Fitness; Digital Healthcare; Elderly; Service Design; User-centered; Sports for All; Rehabilitation; Kano Model; Service Strategy; Service Scenario; 스마트 피트니스; 디지털 헬스케어; 노인 사용자; 서비스디자인; 사용자 중심; 생활체육; 재활 운동; 카노 모델; 서비스 전략; 서비스 시나리오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36, no.2, pp.215 - 245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36
Number
2
Start Page
215
End Page
24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221
DOI
10.15187/adr.2023.05.36.2.215
ISSN
1226-8046
Abstract
연구배경 Covid19 이후 언택트(Untact) 트렌드가 나타나는 동시에 4차 산업혁명이 급속화되며 ICT 기술을활용한 비대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줄어든 외부활동에 따른 건강관리의 필요성에 따라 ICT 기반 헬스케어·피트니스 서비스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는 고령화라는 사회적 측면과 접근 용이성의 측면에서 일반적인 사람에 비해 노인 집단에게 더욱 유용할 수 있으나 현재 연구 개발은 주로 20~30대의 젊은 층을 타깃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T 기반 스마트 피트니스 서비스를 구성하는 사용자경험요인을 도출 및 평가하고, 노인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 설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적합한 서비스 설계에 참고할 수 있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ICT 기반 스마트 피트니스 서비스 경험요인 도출을 위해 노인 운동, 디지털 피트니스 및 디바이스⋅콘텐츠⋅시스템 측면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사용자 여정및 터치포인트를 분석하여 세부 경험요인을 구체화하였다. 이후, Kano 모델을 활용한 설문 분석을 진행하여 경험구성요소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노인 대상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노인, 노인 운동, 공학디자인,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 주제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노인 스마트 피트니스 서비스 설계 방안을 사용자, 콘텐츠, 디바이스, 서비스 운영의 측면에서 도출하였으며, 사용자 유형별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자 대상의 스마트 피트니스 서비스 방안으로 4개의 범주와 9개의 하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 ‘노인 사용자 유형에 대한 정의’, ‘대상자에 적합한 훈련 콘텐츠 개발’, ‘디바이스의 적합한 활용 방식’, ‘서비스의 적합한 운영 모델 개발’이며, 9개의 하위 항목은 ‘사용자 유형 및 서비스 방향 설정’, ‘데이터연계를 통한 서비스 확장’, ‘데이터 기반 맞춤 훈련 제공’, ‘고령자의 인지를 고려한 정보 제공’, ‘흥미 유발 및 동기부여’,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디바이스 선정’, ‘고령자 편의성을 고려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설계’, ‘서비스구현을 위한 전달체계 구축’, ‘서비스 관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시스템 체계화’로 구체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노인 사용자 유형을 액티브 시니어, 노인성질환 환자, 재활 운동 필요 노인의 3가지로 유형화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 서비스 시나리오를 총 9단계로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ICT 기반 스마트 피트니스 서비스를 구성하는 경험요인 및 세부 구성요소를 구체화하고Kano 모델을 통해 평가하여 어떠한 요소가 사용자의 만족과 불만족을 느끼게 하는지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노인 수요자를 중심으로 한 경험구성요소 및 구체적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노인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방안 및 시나리오는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ICT기반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 시 사용자 중심서비스 설계의 기반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련 분야 기술 개발이나 리빙랩 운영을 위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서비스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o, Yoo Ri photo

Koo, Yoo Ri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Service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