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숏폼 영상 서비스에서 영상 진입 방법과 사운드 유무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video entry methods and presence of sound on user experience in short-form video service

Other Titles
The Effects of video entry methods and presence of sound on user experience in short-form video service
Authors
윤재희윤재영
Issue Date
Aug-2023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Keywords
숏폼; 모바일 서비스; 중독; Short form; Mobile Service; Addiction
Citation
한국디자인포럼, v.28, no.3, pp.157 - 171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포럼
Volume
28
Number
3
Start Page
157
End Page
17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602
DOI
10.21326/ksdt.2023.28.3.014
ISSN
2233-9205
Abstract
연구배경 숏폼 플랫폼의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자극적이고 강한 영상의 몰입감으로 인한 숏폼 중독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숏폼 영상 콘텐츠의 중독을 방지하기 위해 숏폼 영상 서비스 진입 유형에 따라 중독과 사용자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 진입 유형별 디지털 넛지 요소인 사운드 유/무에 따라 사용자의 중독과 정서적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 및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물 및 실문지를 제작하여 10~4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기로 한다. 통계 결과 분석 후 30명에 대하여 1:1 인터뷰를 통해 결과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첫째, 숏폼 진입 유형이 중독 요인 중 하나인 지속사용의도와 사용자 정서적 경험 요인인 만족감과 불쾌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숏폼 진입 유형별 사운드 재생 유무에 따라 중독 요인인 과몰입과 지속사용의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사용자 정서적 경험 요인인 만족감과 불쾌감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의 최종적인 논의 점으로 숏폼 중독 방지를 위한 숏폼 영상 진입 유형별 방향성을 논의한 결과 앱 아이콘 진입의 경우 사운드ON 진입, 하단 내비게이션 진입의 경우 사운드OFF 진입, 리스트 진입의 경우 사운드 OFF 진입이 중독 방지를 위한 사용자 작업 제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에서도 숏폼 중독 방지를 위한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될 서비스 디자인에 대해 사용자와 서비스 입장에서 서로에게 큰 손실을 주지 않는 적당한 선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연구로써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