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모티콘의 표현 유형과 시각적 표현 방식이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청소년의 정서와 행동 변화 유도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Emoticons Expression Types and Visual Expression Method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 Induc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Other Titles
Effects of Emoticons Expression Types and Visual Expression Method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 Induc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uthors
이영규김현석
Issue Date
Aug-2023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obile Instant Messenger(MIM) Servic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Behavioral Change Induction; Emoticon Expression Types; Visual Expression Methods; User Experience;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청소년;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 서비스; 사회성·정서 발달; 행동 변화 유도; 이모티콘 표현 유형; 시각적 표현 방식; 사용자 경험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36, no.3, pp.149 - 165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36
Number
3
Start Page
149
End Page
1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642
DOI
10.15187/adr.2023.08.36.3.149
ISSN
1226-8046
Abstract
연구배경 ASD 아동·청소년들은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나와 타인의 감정 인식과 표현, 정서 이해, 정서 조절에 어려움이 있으며 제한된 관심 영역에서만 반복하는 상동 행동과 문제행동이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솔루션으로서 대화 맥락적 의사소통에 필요한 감정 표현,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이모티콘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의 표현 유형(표정형, 행동형, 상황형)과 시각적 표현 방식(정적인 이미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순차적 배열)의 총 9가지 조합이 ASD 아동·청소년의 정서와 행동 변화 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용자 경험 조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 서비스인 카카오톡 인터페이스에서 ASD 아동·청소년들에게 가장 적합한 이모티콘의 표현유형과 시각적 표현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ASD 아동·청소년의 정서와 행동 변화 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독립변인으로 이모티콘의 표현유형(표정형, 행동형, 상황형)과 시각적 표현 방식(정적인 이미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순차적 배열)을 설정하고, 종속변인으로 감정 표현, 행동 유도, 정서 이해를 설정하였다. 실험 측정을 위해 10~18세인 ASD 아동·청소년 13인의 아스퍼거 증후군과 고기능 자폐를 대상으로 사용자 경험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자 경험에 따른 양적· 질적 연구를 위해 ASD 아동 ·청소년 대상으로 Think Aloud 기법과 부모 심층 인터뷰가 함께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Spss에서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이모티콘 표현 유형과 시각적 표현 방식에 따라 감정 표현, 행동 유도, 정서 이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감정 표현에서는 표정형이모티콘×정적인 이미지가 상호작용 효과에서 높은 결과값을 보이며, 자신의 감정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에적절했다. 행동 유도에서는 상황형 이모티콘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 상호작용 효과에서 높은 결과값을 보이며, 사회적 단서가 있는 상황형의 애니메이션 표현 방식이 ASD 아동·청소년의 행동 변화 유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 이해에서는 상황형 이모티콘×순차적 배열이 상호작용 효과에서 높은 결과값을 보이며 정서 이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는데, 그 이유로는 상황 단서가 있는 순차적 배열 방식이 ASD 앞뒤 상황적 맥락을이해할 수 있게 되어 타인의 정서 이해와 상황에 맞는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의 연구 결과에 따라 ASD 아동·청소년을 위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이모티콘은 상황형 이모티콘 ×순차적 배열의 문제해결 디자인과 상황형 이모티콘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의 친사회적 행동 모델링의확장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앞으로 이모티콘을 매개로 한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학습과 AI 챗봇서비스, 디지털 치료제 등의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경험 디자인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un suk photo

Kim, Hyun suk
Fine Art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