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거주환경이 노령층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분석을 중심으로-Research on the Impact of Human Settlement Environment on the Happiness Index of the Elderly -Center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Impact of Human Settlement Environment on the Happiness Index of the Elderly -Center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uthors
우양조택연
Issue Date
Sep-202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Human Settlement Environment(거주 환경); Happiness(행복감); Elderly(노령층); Structural Equation Model(구조방정식 모델)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9, no.3, pp.281 - 294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9
Number
3
Start Page
281
End Page
29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759
ISSN
1598-6497
Abstract
고령화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거주환경이 노령층의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중요한이론적, 실천적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먼저 선행 연구와 결합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 노령층의 행복에영향을 미치는 거주환경 요소를 분류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거주환경이 노령층의 행복감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영향 요인 간의 관계를검증하고 거주환경 구성이 노령층의 행복에 미치는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노령층의 행복감을 증진하는 거주환경 개선의 관건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거주환경의 구성은 노령층의 행복에촉진 효과가 있다.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거주환경이 다양한 구성 차원으로 노령층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발견하였다. 신체 약화를 극복해 공간 자극에 접근하는 환경은 노령층의 행복도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며 경로계수는 0.30이다. 그리고 다른 차원의 기초이며, 그 개선은 다른 차원의 환경 사용에 영향을미친다. 이어 지속적으로 사회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환경(0.25), 미래 예측하는 통찰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0,25),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 구현할 수 있게 하는환경(0.21) 순이었다. 연구에 따르면 거주환경의 개선은 노령층의 행복감 획득과 행복지수 향상에 도움이된다. 거주환경의 개선은 기반시설의 보완에 중점을두고 문화 활동을 풍부하게 하는 것으로 보완할 수있다.본 연구가 노령층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거주환경 구축과 디자인 개선에 이론적 뒷받침이 되기를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