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멀티모달 AI를 활용한 안심 귀가 서비스제안Proposal for safe return home service using multimodal AI

Other Titles
Proposal for safe return home service using multimodal AI
Authors
강봉훈구유리서승우김성희정창원
Issue Date
Oct-2023
Publisher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Keywords
안심귀가서비스; 1인 가구; 귀갓길; 멀티모달; AI CCTV; AI Multimodal; Road recommendation; Fear; Stability; Safety
Citation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85, pp.211 - 225
Journal Title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olume
85
Start Page
211
End Page
22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832
ISSN
1976-1562
Abstract
오늘날 1인 가구의 비중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의 1인 가구 중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1인 가구 및 여성을 상대로 한 범죄 비율도 높아지고 있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안심 귀갓길 등 여러 정책을 시행 중이지만 인력 및 예산 문제, 지역적 차등 서비스 등의 이유로 효과 및 만족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안심귀가 서비스의 문제점과 사용자들이 느끼는 안정감 증가, 불안감 해소를 위해 문제점들을 정의하고 멀티 모달 AI를 활용하여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는 접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안감을 느끼는 요소 및 안정감을 느끼는 요소를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페르소나를 도출하고, 사용자 시나리오 작성을 통해 페인 포인트를 정의했다.이를 통하여 각 각 페인 포인트에 대한 솔루션을 테마별로 도출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해당 솔루션의 기능으로는 안정감증가를 위해 AI추천귀갓길안내, 다양한 옵션의 경로 선택기능을 추가하였으며, 불안감해소를 위하여 실시간 귀갓길 공유, 웨어러블신고기능 등 다양한 멀티모달AI기술을 활용하여 현 서비스의 문제점을 개선 및 고도화된 기술을 안심귀가서비스에 접목시켰다.따라 본 연구는 1인 가구 및 여성에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귀가 경로를 제공하여 더욱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기대하며 멀티 모달 AI를 활용한 안심 귀가 서비스 '안도'를 제안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서비스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o, Yoo Ri photo

Koo, Yoo Ri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Service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