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건강 거리 개념 기반의 보행로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중국 7개의 특대 도시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가지우-
dc.contributor.author이현성-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24-01-04T05:30:43Z-
dc.date.available2024-01-04T05:30:43Z-
dc.date.issued2023-12-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2460-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건강은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현대 도시화의 빠른 진행과 자동차 중심의 도시 계획과 관리에 따라, 도시의 보행로는 많은 문제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보행 공간의 부족과 낮은 품질로인한 보행량의 감소 등으로 인해 도시 주민들의 건강과 행복이 저하된다. 중국의 도시화율은 2030년까지 71%에 달할 것이며 도시 개발로 인한 환경, 자원 및 계획 문제가 주민들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건강 개념을 보도 디자인에 통합하면 주민의 건강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 공공 참여를 통해 보도의 건강 증진 특성 요소를 도출한 다음 중국에 도시 적합한 건강한 거리 요소를 도출한다. (연구방법) 중국 보행로에 관한 국가 표준, 도시 보도 디자인 가이드라인 그리고 건강 거리 관련 논문을 참고하여 건강 증진 특성 요소를 정리하였다. 둘째, 7개의 특대 도시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1000명 주민을 대상으로 5점 척도의 리커트 척도 설문지를 통해 요소에 대한 의견과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특성 요소들과 영국 디자이너 건강 거리 점검의 일부분 요소를 대상으로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요소의 유효성과 합리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종합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개의 잠재 변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25개의 관측 가능한 변수는 각각 잠재 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들 요소는 모두 건강 거리의 특성과 기능을 반영한다. 그중에 신체 활동 촉진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데, 이는 주민들이 보도의 연속성, 보도 유효 폭, 거리 안전감, 주거지역에서 공공 공간까지의 접근성, 건널목 수요 충족 제공, 대중교통 인근 공유 자전거 적용률 등이 높은 품질의 보도 환경에서 보행, 자전거(전기) 타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이를 통해 건강을 증진한다. (결론) 본 연구는 중국의 특대 도시 보도의 건강 증진 특성 요소를 파악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요소의 유효성과 합리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건강 거리의 이론과 실무의 발전에 이바지하며, 중국의 도시 보도 환경의 특성과 문제를 고려한 건강 거리의 설계와 평가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건강 거리의 요소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방법론을 제시하며, 보도의 건강 증진 요소의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신체 활동 촉진이 건강 거리의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요소임을 밝혔으며, 이는 주민들이 보도 환경에서 보행이나 자전거를 선호하고, 이를 통해 건강을 증진한다.-
dc.format.extent1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건강 거리 개념 기반의 보행로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중국 7개의 특대 도시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Sidewalk Characteristic Elements based on the Concept of Healthy Streets -Focusing on China‘s 7 Largest Citie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35216/kisd.2023.18.8.29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8, pp 299 - 310-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8-
dc.citation.number8-
dc.citation.startPage299-
dc.citation.endPage310-
dc.identifier.kciidART003033420-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건강 거리-
dc.subject.keywordAuthor디자이너 건강 거리 점검-
dc.subject.keywordAuthor보행로-
dc.subject.keywordAuthor특성 요소-
dc.subject.keywordAuthor구조 방정식 모형-
dc.subject.keywordAuthorHealthy Streets-
dc.subject.keywordAuthorHSCD-
dc.subject.keywordAuthorSidewalk-
dc.subject.keywordAuthorCharacteristic Elements-
dc.subject.keywordAuthorSEM-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공공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 Yun photo

Kim, Joo Y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