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한 CVR 분석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주영-
dc.contributor.author임선희-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24-01-04T05:30:46Z-
dc.date.available2024-01-04T05:30:46Z-
dc.date.issued2023-12-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2466-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분야 메타버스는 정부 기관과 관련된 기관들이 가상현실 공간에서 시민과 상호 작용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가상환경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정책 정보 전달, 상담 서비스, 교육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분야 메타버스와 어포던스 디자인의 연관성을 연구하며, 메타버스에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전문가 평가를 통해 어포던스 디자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공공분야 메타버스에서 지속적이고 활발한 사용자 참여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서비스를 향상하고 보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정의와 공공 서비스 분류를 이해하고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어포던스 디자인의 평가 요소를 분류하여 3개의 사례 분석의 대상을 선정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중요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넷째, 중요도 분석 결과에서 각 요소에 배점된 점수를 활용하여 실제 사례 평가를 통해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공공분야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4개의 대분류와 13개의 세분류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요소별 CVR 분석을 진행한 결과 대분류에서는 인지적 어포던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세분류에서는 인지적 어포던스의 다양성, 기능적 어포던스의 정보성, 물리적 어포던스의 경험성, 감각적 어포던스의 심미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사례 분석 결과 비교 값을 보면 3개의 사례 모두에서 각각의 대분류 별로 심미성, 다양성, 경험성, 정보성 요소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심미성, 다양성, 경험성, 정보성 등이 CVR 분석 결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고 그 결과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개발 시에 이 4개 요인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결론) 공공분야 메타버스 공간에서 어포던스 디자인을 고려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시민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며, 효과적인 공공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분야 메타버스에 어포던스 요소를 적용하여 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공공분야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정보 전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사용자의 지속적인 참여와 소통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dc.format.extent1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한 CVR 분석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VR Analysis of Affordance Design Elements of Metaverse in Public Sector-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35216/kisd.2023.18.8.67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8, pp 679 - 690-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8-
dc.citation.number8-
dc.citation.startPage679-
dc.citation.endPage690-
dc.identifier.kciidART00303377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Metaverse in the Public Sector-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service-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space-
dc.subject.keywordAuthorAffordance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CVR-
dc.subject.keywordAuthor공공분야 메타버스-
dc.subject.keywordAuthor공공 서비스-
dc.subject.keywordAuthor가상공간-
dc.subject.keywordAuthor어포던스 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CV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 Yun photo

Kim, Joo Y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