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득이동성의 추이변화와 인구고령화의 영향 분석Longitudinal Changes in Income Mobility and Effect of Aging Population

Other Titles
Longitudinal Changes in Income Mobility and Effect of Aging Population
Authors
성명재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Keywords
소득이동성; 지니계수; 고령화; 빈곤; 빈곤탈출; 빈곤진입; income mobility; Gini coefficient; population aging; poverty; poverty exit; poverty entry
Citation
한국경제의 분석, v.24, no.3, pp.1 - 44
Journal Title
한국경제의 분석
Volume
24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4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4162
Abstract
본 연구는 2007~2015년의 재정패널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총소득을 기준으로 소 득이동성(income mobility)의 시계열 추이를 추정하고, 소득이동성의 추이변화(추세적 하락)를 가설검정하였다. 연속한 두 기간 사이의 소득순위 변화로 나타나는 소득변 화비율을 소득이행변수로 설정하고, 분산이 분포의 변동성(variability)을 나타내는 통 계적 모수라는 점에 착안하여 동 변수의 분산을 소득이동성 지표로 설정하였다. 분 석대상 기간 동안 총 7회의 연속한 두 연도 사이의 기간 동안 통계적 유의미한 정도 로 소득이동성, 즉 분산값의 하락현상이 5번 있었던 것으로 검정되었다. 인구고령화 영향 등을 배제하기 위해 분석대상 연령층을 30~55세로 통제한 결과에서도 2회에 걸 쳐 소득이동성의 추이 하락이 검정되었다. 인구고령화는 소득분배 격차를 확대시키 는 동시에 은퇴기 가구 비중을 높임으로써 소득이동성을 낮추는 데 일조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인구고령화 효과를 배제하더라도, 소득이동성(분산값)이 하락추 세를 보이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소득이동성의 하락 현상이 인구고령화로 인해 촉진 될 뿐만 아니라 적극경제활동연령인구에서도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인구고령화로 인해 소득이동성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고령화 효 과를 제외하더라도 이동성이 줄어들고 경직성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총소득에 추가하여 시장소득과 소비(지출)를 기준으로 이동성을 추정해 본 결과에서도 이동성이 하락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Economics > Economics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ung, Myung Jae photo

Sung, Myung Jae
Economics (Major in Economic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