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보행만족도에 따른 보행서비스수준 지표개선 - 서울시 저층부 용도를 대상으로 -A Study of Improvement on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Pedestrian Satisfaction - Focused on Lower Floor Building Use in Seoul -

Other Titles
A Study of Improvement on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Pedestrian Satisfaction - Focused on Lower Floor Building Use in Seoul -
Authors
문영기김동준한제현강준모
Issue Date
2018
Publisher
대한토목학회
Keywords
보행서비스수준; 보행만족도; 저층부 용도; 보행교통류율; Pedestrian level of service; Pedestrian satisfaction; Use of lower floor building; Rate of pedestrian flow
Citation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38, no.6, pp.979 - 990
Journal Title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olume
38
Number
6
Start Page
979
End Page
9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4174
DOI
10.12652/Ksce.2018.38.6.0979
ISSN
1015-6348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보행서비스수준은 보행의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에 변별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보행만족도를 연계하여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을 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1,157개 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보행과 관련된 지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재분류한 결과 기존 A등급으로 치중되었던 결과와 달리 보행서비스수준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둘째, 개선된 보행서비스 수준 중 B등급과 C등급에서 보행만족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향후 보행로 계획 시 적정 물리적 시설이 충족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군집유형별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보면 각 등급의 보행교통류율이 다르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로계획 시 보행서비스수준을 측정할 때 주변 시설의 종류에 따라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은 도시개발사업과 보행계획에 있어 보다 현실적이고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chitecture > Urban Engineering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