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구술성과 문자성을 결합한 모바일 언어로서의 이모티콘의 특성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as a Mobile Language : Combining Orality and Literacy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as a Mobile Language : Combining Orality and Literacy
Authors
정혜욱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MIM; 이모티콘; 미디어 생태학; 사회적 상호작용; 구술성; MIM; Emoticon; Media Ecology; Social Interaction; Orality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31, no.4, pp.125 - 135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31
Number
4
Start Page
125
End Page
13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4233
DOI
10.15187/adr.2018.11.31.4.125
ISSN
1226-8046
Abstract
연구배경 미디어의 변화와 그로 인한 사회 문화적 변화와의 밀접한 연계성을 대표하는 미디어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들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변화는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내용의 변화를 야기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모바일 사회의 핵심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은 Mobile Instant Messasging(MIM) 중 카카오톡(Kakao Talk)과 이모티콘의 활용은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인 구술언어사회의 특성인 구술성을 내포한 이모티콘은 온라인 환경에서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화자의 감정 전달에 효율적인 이모티콘은 구술 언어 중심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모티콘을 문자와 구술성을 갖춘 새로운 언어 형태로 보고, 이모티몬의 중심 역할과 사용자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의 고찰을 위하여 국내에서 가장 범용화된 MIM인 카카오톡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상황에서 이모티콘을 활용하는지 그리고 사회적 관계 구축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새로운 경험이나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의 살아있는 체험이 지니는 의미를 기술하는 귀납적 질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며, 개인적 속성보다는 전체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 속성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귀납적이며 서술적인 Colaizzi (1978) 방법론이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MIM에서의 이모티콘을 커뮤니케이션의 보조적 수단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보고 피상적이며 외형적인 결과에 함몰할 수 있는 위험성에서 탈피하여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연계성을 다각적이며 거시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미디어와 인간의 유기적 관계를 살피는 미디어 생태학 이론을 연구의 이론적 토대로 삼고 고찰했다. 연구결과 심층인터뷰 중심의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일상 대화에서 대화를 자연스럽게 끝내고 싶거나 내면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싶을 때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연구 참여자들이 이모티콘의 사용을 의도적으로 자제하는 경우는 친밀감이 전제되지 않거나 사회적 거리감을 지닌 상대방과의 대화였으며, 특히 사회적 지위가 상이할 경우 이모티콘의 사용은 극도로 자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자칫 무례하거나 왜곡된 의미를 전송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위가 높은 화자가 먼저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경우 호의적인 인상을 전달할 뿐 아니라 두 화자간의 내적 친밀감이 급격하게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렇게 구축된 내적 친밀감은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이모티콘의 능동적 활용은 MIM의 편향성을 극복함으로써 구술성 중심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인간의 욕망임을 실증적으로 고찰했다. 둘 째, 이모티콘을 구술성과 문자성을 융합한 모바일 언어의 새로운 형태로 보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함의를 이론적으로 제시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의 사회문화적 함의는 향후 관련 연구에 실증적이며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School of Design and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Hye Uk photo

Chung, Hye Uk
Design & Visual Arts (School of Design Converg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