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현대목판화의 특성과 그 매체적 변화: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ontemporary Woodcut Prints And The Changes of The Media in Woodcut - Focus after 1990's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ontemporary Woodcut Prints And The Changes of The Media in Woodcut - Focus after 1990's
Authors
김승연안유선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판화현대판화목판화매체연구; Printmaking Contemporary Printmaking Woodcut Media Research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9, no.5, pp.113 - 122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9
Number
5
Start Page
113
End Page
12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4250
ISSN
1598-8635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현대 목판화의 동향을 살펴보고, 동시대 목판화 작가들의 작품성과 그 실험성을 고찰해보는데 있다. 1990년대는 컴퓨터, 영상, 사진, 등 미디어매체의 본격적인 활성화가 시작되며, 미술계에 전반적으로 많은 영향이 일어났던 시기이다. 특히 판화의 정체성과 개념에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기시작한 것에 따라 1990년대 이후부터 2020년대를 앞두고 있는 현재까지의 발표된 목판화 작품들을살펴보고, 한국현대목판화의 전반적인 현상을 읽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현대판화가협회,한국현대목판화협회, 울산국제목판화페스티벌과 국립현대미술관과 경기도미술관에서 주최한 대규모판화 기획전인 <한국현대판화 40년전>, <한국현대판화 1958-2008>, <층과 사이 Layers andSpaces>, <판화하다-한국현대판화 60년>, 그리고 목판화를 중심으로 한 전시와 세미나, 학술발표들을 중심으로 발표된 작품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한국현대목판화의 특징과 매체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작업 방식의 계승에 현대성을 가미하여 그 전통성을 이어나가는 것이다. 둘째, 과거의 인쇄의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기능과 순수예술로서의 목판화, 이 두 가지로만 보여지던 판화의 특징이 여러 가지로 확장되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디자인이나 공예적인 특성 등 다양한 조형언어로 표현된 방식들의 결합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미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셋째, 목판화 자체의 개념적인특징을 이용한 작품들이다. 나무자체에서 느낄 수 있는 인문적 요소의 강조, 판화의 개념적 특성과 새로운 매체의 융합을 보여주는 작품 등 보다 실험적인 작품들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목판화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방식의 고찰 뿐 아니라 전통성의 계승과 발전에 주목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Department of Printmak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