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써의 플레이스 브랜딩- 유럽사례를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부미-
dc.contributor.author권영재-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vailable2020-07-10T04:32:31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4265-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그 모습을 바꾸어왔으며 그 과정에서 버려져 방치된 공간이 발생하였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구도심이나 오래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결책 중 하나로‘유휴공간의 재생’이 제시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따라, 유휴공간을 활용한 브랜드들이 다변화하여 성장하였고, 문화공간에 한정되어 있던 흐름이 상업공간, 주거공간으로 까지 확대 되고 있다. 하지만, 유휴공간의 장소성을 무시한 채, 외형적 차원의 현대성을 부여 하는 것에 집중 되었고, 이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본 연구는 유휴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적 가치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휴공간의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을 분석하여 유휴공간 활성화 방안의 전략적 수단으로써 플레이스 브랜딩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재생 건축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유럽 지역으로 한정하여, 성공한 유휴공간의 재생 사례에 해당하는 공간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유휴공간과 플레이스 브랜딩의 개념에 대해 연구하고 서술한다. 둘째, 유휴공간의 의미적 활용 가치 특성과 유휴공간의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에 대해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특성을 토대로, 사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종합 분석하여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활용 가능성을 제시 한다. (결과) 유휴공간의 자원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유휴공간 활성화의 전략적 도구로 플레이스 브랜딩을 시도한 국외 사례의 경우, 단순히 건물의 형태를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보이지 않는 정체성을 물려받아 인위적으로 만들래야 만들 수 없는 자신만의 ‘특별한 감성’으로 공간의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 활성화, 나아가 도시재생 까지 이룬 사례들이 많았다. 유휴공간이 가지고 있는 의미적 가치는 공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중심이 된다. 이를 기반으로 한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의 물질적 측면의 활용 요소와 비물질적 측면의 활용 요소가 결합된다면 장소에 대한 기존의 이미지가 더욱 더 강화되고 지속가능한 공간을 가능하게 한다. (결론) 현재 유휴공간의 활용이 활발한 사회적 배경에서 지속가능한 방법에 대한 고민이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된다. 플레이스 브랜딩을 통한 유휴공간의 활성화는 유휴공간에 내재된 역사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지속가능하게 하며, 지역문화에 활기를 불어 넣어 건축물의 재생을 넘어서 지역 활성화와 나아가 도시재생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유휴공간의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방법의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라며,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으로 도구로 플레이스 브랜딩이 활용 가능할 수 있도록 특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써의 플레이스 브랜딩- 유럽사례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methods of revitalizing idle space - Based on European Examples --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주연-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8.13.5.33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3, no.5, pp.331 - 344-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3-
dc.citation.number5-
dc.citation.startPage331-
dc.citation.endPage34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39870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유휴공간-
dc.subject.keywordAuthor장소성-
dc.subject.keywordAuthor플레이스 브랜딩-
dc.subject.keywordAuthor재생공간-
dc.subject.keywordAuthor도시재생-
dc.subject.keywordAuthorIdle Space-
dc.subject.keywordAuthorLocality-
dc.subject.keywordAuthorPlace Branding-
dc.subject.keywordAuthorRecycling-
dc.subject.keywordAuthorUrban regenera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 Yun photo

Kim, Joo Y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