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투리 아크릴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장신구 디자인 연구A Study on the Upcycling Accessory Design using Offcut Acrylic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pcycling Accessory Design using Offcut Acrylics
Authors
이혜수박보람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Eco-Design(에코디자인); Upcycling Design(새활용 디자인); Using Offcut(자투리 사용); Acrylics(아크릴); Accessory Design(장신구 디자인)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4, no.2, pp.609 - 619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4
Number
2
Start Page
609
End Page
61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4454
ISSN
1598-6497
Abstract
국내 업사이클링(Upcycling)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주목하여 한국의 간판 제작에주로 사용되는 아크릴(Acrylic)을 활용한 업사이클링장신구 디자인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연구 방법과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재활용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와 아크릴의 특성, 한국 간판 동향의 이론적 고찰을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업사이클링을 통한 장신구 디자인의 국내외 사례 9개 중 11개의 업사이클링 장신구디자인을 선정하여 업사이클링 디자인 제작 기법(이루미 등, 2015)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5가지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기법 중Melting and Compressing 기법은 업사이클링 장신구에 활용되지 않았다. 자투리 아크릴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장신구의 경우에도 위의 기법을 제외한 나머지 4 가지 기법이 적용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자투리 아크릴의 무독성, 경량성 등의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자투리 아크릴은 장신구 디자인 소재로 활용이 적합하였다. 더불어 유광 아크릴의표면은 장신구의 반짝임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다양한 업사이클링 기법을 활용한 자투리 아크릴 장신구 디자인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장신구 디자인의 조형적 연구와 더불어 자투리 아크릴을 활용한 다양한 업사이클링 연구을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Design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Bo ram photo

Park, Bo ram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Major in Design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