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선행 EEG 실험연구 분석을 통한 공간의 조명요인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진-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vailable2020-07-10T04:35:16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4555-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현대인들은 과거의 생활 방식과 다른 패턴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야간을 이용한 활동성이 많은 생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생활패턴의 변화는 많은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주어 새로운 적응적 환경 요소 개발 및 변화를 필요로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도시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야간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되는 조명요소인 조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공공장소에서의 야간조명이 빛 공해를 주고 있고 이에 대한 문제점이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빛 공해 발생의 근본적인 빛에 대한 학문적 근거나 기준이 미비하며 또한 인체가 인지하는 측면의 연구가 부재하여 새로운 조명 요인에 대한 인지적 기준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명 요인에 대한 선행 EEG 실험의 내용을 근거로 조명 요인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있어서는 선행 EEG 실험 연구의 조명 영역에 대한 논문을 조사하여 주요 항목별로 분석하여 내용을 종합하려 하며 연구범위는 2001부터 2016년까지의 논문에 대하여 내용별 항목 도출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내용에 있어서는 실험 연구 현황, 주제 및 항목, 실험 환경 및 조명, 실험 장비 및 변인 분석을 통하여 조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에 대한 가설적 측면에서 조도와 색온도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려한다. (결과) 연구 결과는 조명의 구성요소에 대한 EEG 실험연구의 내용적 미비는 조명의 구성요소인 조도, 색온도, 연색성, 휘도에 대한 향후 실험 진행을 위한 인지적 연구 결과가 매우 미비한 것으로 종합되었다. 따라서 선행 연구된 종합된 조도는 높을수록 각성을 나타냈으며 색온도는 높을수록 업무 집중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종합되었다. 그러나 향후 실험을 위한 기준 자료로서의 역할이나 연구 가설로서의 중요성이 없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조명에 대한 구성요소의 환경적 가이드라인을 위한 인지적 범위 및 내용을 확립하기 위한 선행 연구내용 종합의 기초 연구로서 향후 EEG 실험을 통한 기초적 데이터베이스 적인 역할을 위한 조사 연구이었다. 또한 향후 EEG 실험 연구는 각 조명 요소에 대한 사례 및 내용을 측정을 통하여 인체가 인지하는 뇌파의 반응을 통한 조명 환경의 인지적 범위 및 내용을 설정하는 것이 향후 연구의 목적이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선행 EEG 실험연구 분석을 통한 공간의 조명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factor of Lighting through Previous Experimental Research and Analysis on EEG-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주연-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8.13.2.10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3, no.2, pp.107 - 118-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3-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07-
dc.citation.endPage11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34164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조명환경-
dc.subject.keywordAuthor조도-
dc.subject.keywordAuthor색온도-
dc.subject.keywordAuthor연색성-
dc.subject.keywordAuthorEEG-
dc.subject.keywordAuthorLighting environment-
dc.subject.keywordAuthorIntensity of illumination-
dc.subject.keywordAuthorColor temperature-
dc.subject.keywordAuthorColor rendering-
dc.subject.keywordAuthorEEG.-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 Yun photo

Kim, Joo Y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