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율형 사립고 진학포부에 따른 사교육 격차: 고교다양화 정책 전후의 비교와 학년에 따른 격차 추이를 중심으로The Private Tutoring Gap according to the Aspiration for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The Change before and after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the Temporal Trend of the Gap

Other Titles
The Private Tutoring Gap according to the Aspiration for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The Change before and after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the Temporal Trend of the Gap
Authors
김준엽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Keywords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 Private Tutoring Gap; Aspiration for further Study; Multi-level Growth Model; 고교다양화 정책;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사교육 격차; 진학포부; 다층성장모형
Citation
교육재정경제연구, v.26, no.4, pp.119 - 138
Journal Title
교육재정경제연구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119
End Page
13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6246
ISSN
1226-278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KELS 2013 1~3차년도 자료 및 KELS 2005 자료를 활용하여 고교다양화 정책 이후 자율형 사립고의 팽장에 따른 진학포부의 변화양상, 자사고 진학포부 집단과 일반고 진학포부집단간의 특성차이, 자사고 진학포부의 사교육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사고 진학포부는 특히 서울지역에서 지난 10년간 급격히 팽창하였고, 자사고 진학포부 집단은 사회경제적 배경, 부모의 지원요소, 학업관련 태도 및 수준 등에 있어서 일반고 진학희망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더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및 부모지원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 두 집단간 사교육격차는 사교육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 모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교육비에서 두 집단간 차이가 서울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n yeop photo

Kim, Jun yeop
Education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