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루만의 사회시스템이론을 기반으로 한 장소브랜드 시스템 프레임워크와 디자인 역할Place Brand System Framework and Role of Design Based on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Other Titles
Place Brand System Framework and Role of Design Based on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Authors
윤주현장동련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Place Brand; Social System Theory; Niklas Luhmann; System Design; 장소브랜드; 사회시스템이론; 니클라스 루만; 시스템 디자인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30, no.4, pp.109 - 121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30
Number
4
Start Page
109
End Page
12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6342
DOI
10.15187/adr.2017.11.30.4.109
ISSN
1226-8046
Abstract
연구배경 장소브랜딩은 복합적인 사회적 소통 과정을 통해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과 공유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장소브랜딩은 예산과 노력에 비해 장소 발전과 장소 이미지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장소브랜딩의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디자인 전문성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오늘날 브랜드가 사회 안에서 유기체와 같은 개념으로 진화하였다는 점 뿐 아니라 장소가 제품, 서비스, 기업과 달리 공공의 사회적 실체라는 점에서 장소브랜드는 사회시스템이론을 바탕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장소브랜드 이론 및 퍼어스의 기호학과 함께 루만의 사회시스템이론을 장소브랜드 분석에 도입하였다. 또한 여기에 시스템 결합을 촉진하는 디자인 전문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장소를 기능적, 분절적 사회시스템으로, 브랜드를 장소에 대한 소통시스템으로, 이해관계자를 그들의 의식시스템으로 각각 재해석함으로서 시스템 이론 안에서 이들의 관계와 작동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자생적으로 작동하는 장소브랜드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서, 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디자인이 조직화되어야 할 부분과 역할을 서술하였다. 결론 장소브랜드는 사회시스템으로, 디자인을 통해 소통을 활성화하여 자생적 작동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결합에 활용되는 다양한 디자인 전문성을 조직화하여 시스템 디자인을 구축해야 한다. 장소브랜드 시스템 디자인은 자생적 소통을 통해 장소 고유성을 관찰하고, 장소의 이미지 개선과 장소의 기능 강화를 도모하여 장소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ng, Dong Ryun photo

Chang, Dong Ryun
Fine Art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