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속도로휴게소 화장실 확장에 따른 감성적용 디자인 개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범동-
dc.contributor.author이종세-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vailable2020-07-10T05:37:13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6493-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고속도로 휴게소는 2016년 한국도로공사 주관 ‘혁신화장실 개선사업’을 통해 낡은 화장 실의 시설향상과 고객만족 이라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개선 후 자체적 설문조사 결과 좁은 공간으로 인한 불편함은 여전 히 아쉬운 부분으로 남아 있고, 자율주행 자동자의 등장과 상용화라는 미래적 조건에 맞춰서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 이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면 기존 휴식의 행태 변화에 따른 편의공간의 비중은 축소될 것이며, 인간의 기본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화장실 공간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래의 화장실은 고정적 구조와 면적에서 벗 어난 물리적인 공간의 확장이 필요하며, 생리적 욕구해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인간의 다양한 감성적 욕구 충족을 위한 장소로 써의 개념변화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적 가치로서 새로운 개념 의 감성 중심적 화장실의 모델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 첫째, 사회 환경적 변화에 따른 휴게소의 기능변 화 예측을 기반으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 모습의 변화 가능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모색하였다. 둘째, 현재 화장실의 면적 산출 기준과 실제 적용여부, 적용한 기준의 타당성을 서울 만남의 광장 휴게소를 비롯한 4개소의 각기 다른 화장실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장실 공간을 다섯 영역(Working, Waiting, Moving, Rest, Experience)으로 분류하고 기능적 공간 과 감성적 공간의 적용비율을 분석하여 면적 적용률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기존 화장실은 오래된 과거 면적산출기준의 적용으로 인한 공간의 협소함이 공통적 현상으로 도출되었으며, 감성적 공간의 적용 비율 또한 모두가 낮게 나 타났다. 하지만 기준대비 적용된 공간의 면적이 넓을수록 감성적 공간의 적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의 새로운 모델 제시는‘물리적 공간의 확장’과‘감성적 공간의 확장’의 개념 으로 접근하였다. 2016년 개선된 화장실 4곳을 비교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실제 증축 예정중인 경부고속도로 칠곡 휴게 소 화장실을 콘셉트 화장실의 제시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결론)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은 차와 운행 방법의 기술적 변 화와 함께 휴게소 사용자의 패턴 변화에 따른 공간적 변화가 요구되어지며, 화장실 공간 또한 단순한 '해소'의 공간을 넘어 '비움' 과 '채움'을 통한 감성적 재충전의 공간으로서, 시간이 연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해야 함이 인식된다. 현대인의 감성 충전에 도 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공간으로서 본 연구의 디자인 제안이 다가올 시대의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 공간 설계에 기본적 가이드 라인으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고속도로휴게소 화장실 확장에 따른 감성적용 디자인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Design Applying Futured-oriented Emotion toward Lavatory extension on Highway Rest Area-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주연-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7.12.4.19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2, no.4, pp.199 - 208-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2-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99-
dc.citation.endPage20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5286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Lavatory on the Highway Service Area-
dc.subject.keywordAuthorAutonomous Ground Vehicle-
dc.subject.keywordAuthorTurnover-
dc.subject.keywordAuthorEmotional Charge-
dc.subject.keywordAuthorExtensibility of Space-
dc.subject.keywordAuthor고속도로휴게소 화장실-
dc.subject.keywordAuthor자율주행차량-
dc.subject.keywordAuthor회전율-
dc.subject.keywordAuthor공간의 확장성-
dc.subject.keywordAuthor감성충전-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o Yun photo

Kim, Joo Y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