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삼대록계 국문장편 고전소설 속 여성들의 길 떠나는 양상과 그 의미The meaning of aspects of women setting off in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Other Titles
The meaning of aspects of women setting off in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Authors
정선희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고전여성문학회
Keywords
setting off; keeping off a misfortune; kidnapping; exile; ouster; running away from home; transcendant values; a fatalistic outlook; 삼대록계 국문장편 고전소설; 여성; 길 떠남; 집 밖; 피화; 납치; 유배; 축출; 가출; 초월적 가치관; 운명론적 세계관; 욕망; 대리만족
Citatio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no.34, pp.103 - 132
Journal Title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Number
34
Start Page
103
End Page
1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6555
DOI
10.17090/kcwls.2017.30.34.103
ISSN
1229-9316
Abstract
본고에서는 삼대록계 국문장편 고전소설들에서 여성 인물들이 왜 길을 떠나는지,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하다 돌아오는지, 이런 과정은 무엇을 말하고 어떻게 말하기 위함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성인물들은 적국(敵國)의 모해와 누명 등 화(禍)를 피하기 위해 집을 나서거나, 납치되거나, 잘못한 죄의 대가로 유배, 축출되었다. 선한 여성들은 담담하게 그 상황을 받아들이면서 나간 것에 비해 악한 여성들은 억울해 하면서 희롱을 당하며 나갔다. 한편 자의(自意)로 길을 떠나는 경우도 있었는데, 남편의 애정을 다른 여성들과 다투는 상황이 구차하다고 느끼거나 친정 부모에 대한 효(孝)를 실행하기 위하여 가출하였다. 집을 나선 여성들은 주로 암자나 산 등 인적이 드물고 도승이 있는 초월적인 공간에서 출산을 하거나 액운이 다하기를 기다렸다. 그곳에서 자신의 전생(前生)이나 미래에 대해 듣거나 꿈을 꾸어 알게 되며 도술을 배워 힘을 키우기도 한다. 악녀라고 규정되는 여성들은 오랑캐 땅에서 왕비가 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거기서도 자신의 음란함을 무기로 삼아 왕들을 유혹하여 권력을 잡은 뒤 자신을 축출한 가문에 복수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남편이었던 인물들에게 죽임을 당하거나 적국이었던 여성에게 져서 죽는 것으로, 또는 요괴가 되는 것으로 끝났다. 이런 이야기들은 당대인들의 운명론적 세계관과 초월적 가치관을 좀 더 설득력 있게 보여 주었다. 또한 고난 속에서도 의연하게 대처하거나, 극적으로 남편을 만났어도 사사롭지 않은 엄격함을 보이거나, 잠재되어 있던 능력을 키우고 단련하여 힘을 발휘하거나, 앞일을 예견하는 지혜를 보이는 여성 인물들을 통해 힘들고 억눌린 현실에서 위로와 대리만족을 느꼈을 것이고 동시에 바람직한 여성상을 체화하기도 했을 것이다. 반대로 음란하거나 악한 여성들이 집 밖에서도 그런 행동을 계속 행하다가 더 심하게 욕을 보거나 징치됨을 보면서 계도되기도 했겠지만, 동시에 이들의 애정 욕망이나 권력 욕구가 표출되는 것을 보면서 일시적 해방감을 느끼기도 했을 것이다. 이런 점들이 작품 전체에서 드러나기는 하지만, 특히 길을 떠난 여성과 관련하여 더 극적으로 서사화 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당시의 여성들은 집 밖에 나가 일정 기간을 떠돌면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 자체가 매우 드문 일이었기에 이런 이야기에 흥미를 느꼈을 것으로 보인다. 길 떠난 여성 인물들의 특별한 경험은 공간이 달라지면서 그 폭과 깊이가 달라진 단적인 예가 됨과 더불어, 같은 삼대록계 국문장편 고전소설 유형 내에서의 다른 면모를 보여주는 예가 되기도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ung, Sun Hee photo

Jeung, Sun Hee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